
[심장내과] 부정맥(Arrhythmia)의 종류 및 특징
본 내용은
"
[심장내과] 부정맥(Arrhythmia)의 종류 및 특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8
문서 내 토픽
-
1. 부정맥부정맥이란 정상 심장 박동이 아닌 모든 심장 박동을 말합니다. 심장이 기준보다 빨리 박동하거나, 심장이 기준보다 늦게 박동하거나, 불규칙적으로 박동하거나, 규칙적이라도 정상적인 경로를 따라 전기 흐름이 일어나지 않으며, 외부 환경 변화에 심장 박동이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부정맥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증상이 없고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호흡 곤란, 실신 등을 유발하는 부정맥이나 돌연사까지 일으킬 수 있는 부정맥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2. 심방 조기수축(PAC)심방 조기수축은 심방을 수축시키는 P-wave가 일정한 간격을 보이다가 P-wave가 일찍(조기에)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주로 가슴이 덜컹 거리는 느낌, 두근거림으로 증상을 호소합니다.
-
3. 심실 조기수축(PVC)심실 조기수축은 심실을 수축시키는 QRS complex가 일정한 간격을 보이다가 P-wave가 나오기도 전에 QRS complex가 일찍(조기에)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주로 가슴이 덜컹 거리는 느낌, 두근거림으로 증상을 호소합니다.
-
4. 심방 빈맥(AT)심방 빈맥은 심방 조기수축(PAC)이 여러 개 연달아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심방의 어느 한 세포가 흥분하여 150~250회/분의 심방 수축 자극을 규칙적으로 내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
5. 심실 빈맥(VT)심실 빈맥은 심실 조기수축(PVC)이 여러 개 연달아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분당 심박수가 110bpm~250bpm으로 심실 이소성 pacemaker 지점에서 발생하며, 리듬은 대체적으로 규칙적이나 약간 불규칙할 수도 있습니다.
-
6.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포괄적인 의미로는 심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빈맥을 포함하나, 좁게는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을 이용한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과 방실결절 및 우회로를 이용한 방실 회귀성 빈맥을 말합니다. 분당 150~200bpm까지 규칙적으로 박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7. 심방 세동(AFib)심방 세동은 심방에서 발생하는 빠른맥의 형태로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입니다.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발작성 심방세동)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만성 또는 지속성 심방세동).
-
8. 심방 조동(Af)심방 조동은 심방을 급속히 수축하게 하는 매우 빠른 전기적 방출 형태로, 이러한 전기 충격의 일부는 심실까지 도달하여 불규칙하게, 빠르게, 혹은 정상보다 비효율적으로 수축하는 부정맥입니다. 분당 250~400bpm의 심방 수축이 특징적입니다.
-
9. 심실 세동(VF)심실 세동은 심장 전도계의 이상으로 인하여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박동하고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혈액을 전신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심실이 1분에 350-600회 가량 수축하지만 떨리기만 할 뿐 전신으로 혈액을 뿜어내지 못하므로 바로 정상적인 리듬을 찾지 못하면 사망하거나 허혈성 뇌손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10. 방실차단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가 불완전한 상태의 부정맥입니다. 1도 방실차단, 2도 1형 방실차단(Wenckebach), 2도 2형 방실차단, 3도 방실차단(완전 방실차단) 등이 있습니다. 이 중 3도 방실차단은 심방의 전도가 심실로 전혀 전달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
11. WPW증후군WPW증후군은 심방과 심실 사이 비정상적인 전기신호 전달 통로인 부전도로(accessory pathway)가 존재하여 빠른 부정맥이 동반되는 선천적 질환입니다. ECG상 delta wave가 관찰되며, 평소에는 증상이 없다가 빠른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계항진이 나타납니다.
-
12. 동기능부전증후군(SSS)동기능부전증후군은 동결절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심한 지속성 동서맥, 동정지, 동방차단, 빈맥-서맥 증후군 등이 특징입니다. 동정지는 동결절에 문제가 있어 동리듬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동방차단은 동결절에서 규칙적으로 자극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심방으로 전도되지 않아 P-wave가 생성되지 않는 부정맥입니다.
-
1. 부정맥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적 활성화 과정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증상이 없는 경우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황에 맞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심방 조기수축(PAC)심방 조기수축(PAC)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에 비해 일찍 발생하는 심방 수축을 말합니다. PAC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AC는 대부분 무해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심장 질환과 동반될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PAC를 확인하고,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심실 조기수축(PVC)심실 조기수축(PVC)은 정상적인 심장 박동 리듬에 비해 일찍 발생하는 심실 수축을 말합니다. PVC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VC는 대부분 무해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심장 질환과 동반될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PVC를 확인하고,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심방 빈맥(AT)심방 빈맥(AT)은 심방에서 비정상적으로 빠른 심장 박동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AT는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심부전이나 뇌졸중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AT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심실 빈맥(VT)심실 빈맥(VT)은 심실에서 비정상적으로 빠른 심장 박동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VT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부정맥으로,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VT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6.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은 상심실에서 비정상적으로 빠른 심장 박동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PSVT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심부전이나 뇌졸중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SVT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7. 심방 세동(AFib)심방 세동(AFib)은 심방에서 무질서하고 빠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AFib은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AFib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8. 심방 조동(Af)심방 조동(Af)은 심방에서 규칙적이지만 빠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Af는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Af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9. 심실 세동(VF)심실 세동(VF)은 심실에서 무질서하고 빠른 전기 신호가 발생하여 심장 박동이 완전히 멈추는 상태를 말합니다. VF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부정맥으로, 즉각적인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VF는 심장 마비, 심근경색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위험 요인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0. 방실차단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기 신호 전달이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심장 박동이 느려지거나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방실차단의 원인은 다양하며,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경미한 경우 약물 치료로 관리할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1. WPW증후군WPW증후군은 심방과 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 경로가 존재하여 발생하는 부정맥 증후군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WPW증후군의 치료는 약물 치료, 전기 충격 치료, 카테터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12. 동기능부전증후군(SSS)동기능부전증후군(SSS)은 동방 결절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맥 증후군입니다. 이로 인해 심장 박동이 느려지거나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SSS의 치료는 약물 치료,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 등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아동간호학 난원공개존증 간호과정 patent or persistent foramen ovale 9페이지
아동간호학_난원공개존증patent or persistent foramen ovale1. 환아의 일반적 사항? 진단명 : patent or persistent foramen ovale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난원공개존증?병리학: 태아시기 좌우심방의 직접적인 통로인 난원공이 출산 직후 폐로 호흡을 하기 시작하면서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지고 우심방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저절로 난원공이 막히며 동맥관도 수축한다. 이로써 혈류가 성인과 동일한 양상으로 흐른다. 그러나 선천적인 원인으로 난원공이 닫히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증상: 대부분 무증...2022.03.13· 9페이지 -
성인간호학 호흡기 내과 사전학습 보고서 13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1.^2.^3)^4)(^5)(^6)^7^8^1.^2.^3)^4)(^5)(^6)^7^8..FILE:BinData/image1.bmp..FILE:BinData/image2.bmp..FILE:BinData/image3.bmp..FILE:BinData/image4.bmp..FILE:BinData/image5.bmp..FILE:BinData/image6.bmp...2023.04.02· 13페이지 -
핵심기본간호술선행지식 정맥 수액주입,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기관절개관 관리 21페이지
핵심기본간호술 선행지식정맥 수액주입,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기관절개관 관리목차● 정맥 수액주입* 투약의 기본원칙* 무균술* 말초정맥 주사 부위* 수액용량계산 및 수액주입속도조절* 말초정맥 수액 종류와 부작용●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산소포화도의 의미와 정상범위* 심전도의 종류와 결과의 해석● 기관절개관 관리* 상처관리의 원칙* 기관절개관 관리 시 주의사항●정맥 수액 주입*투약의 기본 원칙1. 정확한 약물 (right drug/medication)- 첫째, 약병을 꺼내면서둘째, 약물을 준비하기 전에셋째,...2022.02.08· 21페이지 -
심혈관계 질환(최종) 92페이지
병리학 심혈관계 질환 발표자 :목차 심혈관계 질환 심혈관계의 구조 , 증상 , 검사 01 02심혈관계의 구조 , 증상 , 검사 01 1. 심혈관계의 구조 2.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 3. 심혈관계 질환 검사1. 심혈관계의 구조1. 심혈관계의 구조1. 심혈관계의 구조1. 심혈관계의 구조1. 심혈관계의 구조 심장과 혈액순환 혈액순환 체순환 0₂ 와 양분을 조직세포에 주고 , 조직세포로 부터 C0₂ 와 노폐물을 받아온다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모세혈관 - 대정맥 - 우심방 (2) 폐순환 모세혈관에서 폐포로 부터 C0₂ 를 주고 폐...2016.04.19· 92페이지 -
기분장애 약물치료-2 31페이지
정신과적 약물치료 (2) 항우울제 및 정신자극제항우울제 Antidepressants항우울제의 일반적 적용범위주요우울장애 및 기타 우울장애 대다수 불안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기타 정신장애 섭식장애, 충동조절장애(trichotillomania), 신체추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타 정신질환에 동반한 우울감 및 충동성 적응장애, 인격장애 물질관련장애, 뇌손상, 치매 기타 비정신과 질환: 편두통, 만성 통증, 난치성 피부염 부작용의 치료적 이용: 일부 성기능장애, 비만 등작용기전: Monoa...2018.03.24· 3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