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실차단 케이스
본 내용은
"
방실차단 케이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9
문서 내 토픽
  • 1. 방실차단(AV block)
    방실차단(AV block)은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이며 자각증상이 없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끔 QRS복합이 생략된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전도장애의 양상에 따라 제 1형차단과 제 2형차단으로 분류된다.
  • 2. 제 1도 방실차단
    제 1도 방실차단은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심방과 심실의 전도시간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이며 자각증상이 없다. 원인으로는 디기탈리스 중독, 급성심근경색, 만성허혈성 심질환, 급성류마티스열, 심근염 등이 있다. 심전도상 PR간격이 0.2초 이상으로 지연되며, 심박동수와 리듬은 정상이다. 증상이 없으면 관찰을 위주로 진행하며, 혈액학적으로 문제 발생 시 약물 투여나 심장박동조율기 삽입이 고려된다.
  • 3. 제 2도 방실차단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실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끔 QRS복합이 생략된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전도장애의 양상에 따라 제 1형차단과 제 2형차단으로 분류된다. 제 1형 차단(Mobitz 1)은 PR간격이 점점 연장되다가 QRS복합이 1회 탈락하는 것이며, 주로 방실결절 자체의 기능적 장애와 관련된다.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흉부 불쾌감, 맥박 느려짐, 심부전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방실차단(AV block)
    방실차단(AV block)은 심장의 전도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 리듬 이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장애로 인해 심실이 적절한 시기에 수축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심장박동이 느려지고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실차단의 원인은 다양하며, 약물 부작용, 심근경색, 선천성 심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심박동기 삽입술 등의 중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실차단의 정도와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2. 제 1도 방실차단
    제 1도 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시간이 정상보다 지연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대부분 무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제 1도 방실차단은 다른 심장 질환이나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경과 관찰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증상이 있거나 다른 심장 질환과 동반된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 1도 방실차단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다른 심장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관찰이 중요합니다.
  • 3. 제 2도 방실차단
    제 2도 방실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장애로 인해 일부 심방 수축이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장애가 더 진행된 상태로, 제 1도 방실차단보다 심각한 상태입니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증상이 있는 경우 심실 박동수가 느려져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은 다양하며, 심근경색, 약물 부작용, 선천성 심장 질환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심박동기 삽입술 등의 중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 2도 방실차단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