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의 투석액 나트륨 농도와 혈압 관리
본 내용은
"
혈액투석 환자에서 투석액 sodiuim 농도변화와 투석간 혈압의 관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8
문서 내 토픽
-
1. 혈액투석 환자의 고혈압말기신부전 환자의 80~90%에서 고혈압이 동반되며, 투석간 혈장량 증가로 진행된다. 원인은 염분과 수분 저류로 인한 심박출량 증가, 신부전 진행으로 인한 말초혈관 저항 증가, 혈관의 염분감수성 증가로 세포외액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혈액투석 환자의 75% 이상이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다.
-
2. 투석액 나트륨 농도 변화 연구1960년대 저소디움 투석(126mEq/L)으로 혈압 조절이 가능했으나, 1970년대 고효율 투석 도입으로 투석시간 단축되면서 투석중 저혈압 문제 발생.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나트륨 투석액(130-140mEq/L) 사용. 2000년대 초 sodium profiling 혈액투석(SPHD) 도입으로 투석 초기 고농도(150-160mEq/L) 유지 후 말기에 감소(135-148mEq/L)시키는 방법 적용.
-
3. 저나트륨 투석액의 효과환자마다 나트륨 set point를 가지고 있으며, 각 개인의 set point보다 낮은 저나트륨 투석액 적용이 투석후 체중증가 최소화 가능. 투석액 나트륨 농도가 혈청 나트륨보다 3mEq/L 이상 높으면 유병률과 사망률 증가. 저나트륨 투석으로 투석간 체중증가 0.4-0.6kg 감소, 갈증 완화, 혈압 조절 효과 확인.
-
4. 혈압 모니터링 지표24시간 보행성 혈압감시장치로 주간(오전 7시-오후 11시), 야간(오후 11시-오전 7시) 혈압 측정. 혈압부하는 일정역치 이상의 혈압이 측정된 시간의 퍼센트. 일중변동은 주야간 평균동맥압 차이를 주간 평균동맥압의 퍼센트로 표현. Dipper는 야간 혈압 10% 이상 감소, Non-dipper는 정상적 야간혈압 강하 없는 군으로 심혈관계 질환 사망률 2.56배 증가.
-
1. 혈액투석 환자의 고혈압혈액투석 환자의 고혈압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요한 임상 문제입니다. 투석 중 체액 과잉,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계통의 활성화, 교감신경계 항진, 그리고 혈관 경직화 등이 주요 기전입니다. 투석 환자의 고혈압 관리는 심혈관 질환 및 사망률 감소에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와 함께 투석 처방 최적화, 특히 투석액 나트륨 농도 조절과 체액 제거량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개별화된 접근 방식으로 각 환자의 특성에 맞는 혈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2. 투석액 나트륨 농도 변화 연구투석액 나트륨 농도는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입니다. 나트륨 농도 변화 연구는 투석 중 나트륨 제거 효율성과 혈압 변화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고나트륨 투석액은 투석 중 혈압 저하를 완화하지만 장기적으로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저나트륨 투석액은 나트륨 제거를 증가시켜 혈압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나트륨 농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개별 환자에게 최적의 투석액 처방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의 심혈관 건강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 저나트륨 투석액의 효과저나트륨 투석액은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치료 전략입니다. 저나트륨 투석액 사용 시 투석 중 나트륨 제거량이 증가하여 체액 과잉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혈압 감소와 고혈압 약물 용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석 중 저혈압 위험 증가, 근육 경련, 그리고 개인차에 따른 내약성 문제 등의 부작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저나트륨 투석액의 도입은 환자의 임상 상태, 투석 중 혈압 변화 패턴, 그리고 개별 나트륨 요구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후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
4. 혈압 모니터링 지표혈액투석 환자의 혈압 모니터링은 단순한 진료실 혈압 측정을 넘어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투석 전후 혈압, 투석 중 혈압 변화, 그리고 외래 혈압 측정이 모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가정 혈압 모니터링과 24시간 혈압 모니터링의 임상적 가치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또한 맥압, 평균 동맥압, 그리고 혈압 변동성 등의 지표도 심혈관 위험도 평가에 유용합니다. 효과적인 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모니터링 지표를 통합하여 해석하고, 투석 처방 조정과 약물 치료를 개별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혈액투석의 원리, 적절도 및 합병증 관리1. 혈액투석의 원리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시행하는 신대체 요법으로, 투석기와 투석막을 이용하여 혈액으로부터 노폐물을 제거하고 신체 내의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과잉 수분을 제거한다. 확산, 대류, 초여과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며, 확산은 농도 경사에 의해 요독 물질이 이동하고, 대류는 압력차에 의해 물과 용질이 함께 이동하며, 초여과...2025.11.16 · 의학/약학
-
ESRD 만성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간호과정1. 말기신부전(ESRD)의 병태생리 및 진단 말기신부전은 사구체여과율이 15mL/min/1.73m²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로,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콩팥기능 상실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원인은 당뇨병(50.2%), 고혈압(20.3%), 만성사구체신염(8.4%)이다. 진단은 혈청크레아티닌, 혈청요소질소, 사구체여과율 검사와 소변검사, 영상검사를 통해 이루어진...2025.11.18 · 의학/약학
-
신장계 부서 학습: 신장 기능 검사 및 투석 치료1. 신장 기능 검사 (Renal Function Test) 신장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생화학적 검사의 조합으로, 체액, 전해질, 산-염기 상태 조절 및 혈중 노폐물 제거 기능을 평가합니다. 주요 검사 항목은 BUN(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GFR(사구체 여과율), 크레아티닌 청소율 등이 있습니다. 크레아티닌 청소율 측정 시 24시간 소변을 수집하...2025.11.16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간호과정4개 만성신부전, 혈액투석, 전해질 불균형,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영양불균형1. 만성신부전 만성신부전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콩팥기능의 상실로, 3개월 이상 이상 지속되는 신장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 고혈압, 사구체질환, 다낭신 등이며, 병태생리는 콩팥의 70~80%가 기능을 하지 못하더라도 ...2025.01.28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신부전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1. 비효과적 호흡양상 신기능 저하로 인한 폐실질의 체액과다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환자는 호흡곤란과 흉부 답답함을 호소하며, Chest PA 검사에서 양쪽 폐에 흉막삼출액과 폐부종 소견이 관찰됨. CRF 진단 및 ESRD로 인한 혈액투석 중이며, ABGA 결과 pH 7.481, PO2 73.9로 산소포화도 저하. 간호중재로 3시간 간격 활력징후 측정...2025.11.16 · 의학/약학
-
말기신부전 환자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1. 말기신부전(ESRF)의 정의 및 원인 말기신부전은 신장기능이 10~15% 이하로 감소하여 생명유지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만성신부전, 급성신부전, 당뇨병성 신장질환, 고혈압성 신장질환 등이 있습니다. 만성신부전은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의 60% 이하인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이며, 5단계로 분류됩니다. 급성신부전은 수 시간에서 수일...2025.11.18 · 의학/약학
-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 관리 컨퍼런스 PPT 16페이지
혈액투석 환자의 혈압관리Contents 만성콩팥병과 혈압 혈압 가이드라인 혈압 관리 혈액투석 중 혈압변화1)ESRD 의 원인질환 (2020)2) 콩팥과 심장 , 혈관의 연관성 Copyright © 2010 International Society of Nephrology3) 고혈압 - 만성콩팥병의 발생기전1) 대한신장학회의 고혈압 임상진료지침2 )KDIGO 의 혈압 가이드라인1) 혈압측정법2) 목표 혈압투석 중 저혈압의 원인 자율신경계의 이상 삼투압유지 불능 장기 내 혈액의 반환 감소 심인성 문제투석 중 저혈압의 대처 Trendele...2022.09.10· 16페이지 -
AK Conference 27페이지
목차1. 혈액투석1) 혈액투석의 원리2) 혈액 투석의 종류3) 혈액투석 방법4) 혈액투석의 경우 식사관리5) 항응고6) 투석기7) 투석액8) 투석기계9) 혈액투석 간호10) 환자교육2. 복막투석1) 복막투석의 원리와 구조2) 투석액의 종류와 보관3) 복막투석 과정과 간호4) 용액교환5) 용액주입관 교환 및 구조 관찰6) 출구관리 및 드레싱7) 복막투석환자 간호8) 환자교육3. 기타1) 네프론의 구조와 생리2) 급/ 만성 신부전의 병태생리3) 급/ 만성 신부전의 간호사정4) 급/ 만성 신부전의 치료? 혈액투석혈액투석은 급성신부전관리에...2025.06.23· 27페이지 -
투석 신환 처방의 의학적 근거 33페이지
신환 처방의 의학적 근거첫 투석일정 1) 투석 횟수와 시간 2) BFR 신환 교육 1) 도관관리 2) 혈관 수술준비 4) 투석 중 합병증 3) 식이교육 01 03 02 투석 관련 처방 1 ) 항응고요법 2) 주사제 3) U F 설정 목차01. 투석일정 신환의 투석의 시작 소변량의 감소 Creatine ↑ BUN ↑ 폐부종 심비대 고칼륨혈증 약물중독 신대체요법 시작1st HD ( 월 ) 4st HD ( 토 ) 3st HD ( 목 ) 2st HD ( 화 ) 2hrs 3hrs 4hrs 4hrs 01. 투석일정 신환의 투석 횟수와 시간1s...2024.05.11· 33페이지 -
혈액투석 종류,부작용,적응증 14페이지
혈액 투석 -2 [hemodialysis]O 신장은 우리말로 “콩팥”이라고도 불리며 , 좌우 양쪽에 하나씩 존재 # 신장의 역할 및 과정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내어 소변으로 배출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 수행 # 과정 혈액 → 신동맥 → 가는 모세혈관 다발인 사구체 → 물과 전해질 , 각종 노폐물 등 여과 → 여과액 → 세뇨관 → 전해질 등이 흡수 및 재분비 → 신우 → 요로 → 방광 저장 → 요도 → 배출 O 혈액투석의 정의 - 우리 몸의 피를 일부 뽑아 그 속의 찌꺼기만 걸러서 버리고...2025.01.08· 14페이지 -
만성신부전 영양관리 5페이지
체질량 지수가 30kg/m2이사인 비만한 사람은 신질환이 2배더 많이 발생.식이제한은 만성콩팥병 환자에게 가장 어려운 일이며 수분제한은 투석환자에게 가중되는 고통스러운 사항이다.투석치료를 받는 급성신질환 환자 or 만성콩팥병 환자에게 최상의 영양 관리를 시행하게 되면 환자의 예후가 좋아질수 있음.1.신질환 환자에서 식이요법의 중요성장점①투석이 필요한 시점을 연기하는데 도움②신질환의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ex.인 제한은 골질환을 예방)③적절한 단백질과 칼로리의 섭취는 이환율과 사망률↓④생활양식, 인종, 사회경제적인 면을 고려한 개별...2025.05.15·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