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모습과 참다운 태도를 벗으로 삼아 앉아 있으니, 세상에서 사귀어 유익한 세 가지 종류의 벗을 사귈 줄을 모른다.4 繩墨업시 삼긴 바회 어느 規矩 알나마다놉고도 고다니 貴하야 보 ... 나다다애딪다 可히 사람이오니 돌마도 못하랴-繩墨(승묵) : 목수들이 사용하는 먹통 줄. 전하여 법률, 기율의 뜻으로 쓰임-規矩(규구) : 그림쇠와 곡척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이나 나무의 本性이 어찌 그러한 規矩鉤繩에 들어 맞기를 바라겠는가. 그런데도 世上에서는 대대로 이 어가며 伯樂은 말을 잘 다룬다. 陶工이나 匠人은 흙과 나무를 잘 다룬다 고 칭찬한다. 이 ... 또한 天下를 다스리는 者의 잘못이다. { ) 莊子 第九, 馬蹄 , 陶者曰, 我善治塡,圓者中規,方者中久. 匠人曰, 我善治木,曲者中鉤,直者應繩. 夫塡木之性,豈欲中規矩鉤繩哉.然且世世稱
.3)교수 및 학습의 방법(1)교수방법 : 與人規矩(여인구구)와 因材施敎(인재시교)교수방법은 이러한 도의 자각을 도모하는 데로 집약된다. 학습의 법도를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태세 ... 를 확립하도록 해주는 것[與人規矩]과 학습자의 자질에 맞게 교 육하는 것[因材施敎]을 들 수 있다. 즉 학습 법도를 제시해 줌으로써 학습자로 하 여금 스스로 정진할 수 있는 학습 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