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자의 과실 없이 음악당의 계속적인 존재가 중지되었기 때문에 양 당사자는 계약이행의무로부터 면책된다 고 판결하였다...☞ 사건..Appleby v. Myers사건에서 원고 ... 제 7조 적용의 효과는 계약이 자동적으로 소멸되기 때문에 양 당사자는 더 이상의 모든 계약 이행의무로부터 면책된다. 그러나 계약물품이 소멸되기 이전에 발생되었던 모든 계약상의 양 ... 은 Frustration이 성립되지 않는다. 즉 위험이 매수인에게 이전된 경우 매도인은 자신의 물품인도 의무로부터 면책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매도인은 해당 물품에 대한 피 보험이 익
과 부적합 면책약관에 선박의 내항성이 확보된 것으로 전제하기 때문에 고지할 필요가 없다.4. 고지의무의 당사자(1) 고지의무자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에게 고지의무가 있다.보험계약자가 여러 ... 이 기는 피보험자의 이해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특히 피보험항해중이거나 보험기간 종료전의 경우]* 최대선의의 원칙보험계약자는 보험자에게 보험청약을 할 경우에는 자기가 신고 ... ontract)이지만 보험에 의하여 이득을 얻지 못한다는 원칙이 적용된다. 해상보험계약은 보험자가 피보험자에 대한 해상손해 즉 항해사업에 부수하는 손해만을 보상하는 것을 약속하는 계약
변경(變更)한 개정 협약이다. 헤이그 규칙에 비하여 이 협약의 특징은 항해과실(航海過失)에 대 한 운송인의 면책(免責)이 폐지되는 등, 운송인의 책임이 엄격화되고 확대되었다는 점 ... \ac(○,2) 항해협정(sailing agreement) : 항해와 관련되는 사항을 사전에 협정하여 가맹선사간의 과당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eq \o\ac(○,3) 운임협정
한다. 또한 운송인은 과실책임주의의 원칙에 따라 운송책임이 있다고 보는 것이 지배적이나, 만약 운송인의 귀책사유가 없다고 하면 하주는 적하보험계약을 통한 적하보험자에게 위험을 전가 ... 도 피보험이익의 종류, 손해의 형태와 보상한도 및 보상방법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제한하고 있다. 특히 1982년의 친협회적하약관에서는 로이즈증권에서 볼 수 없었던 면책조항이 삽입 ... 의 종류, 포장, 운송항로와 항해시간 등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보험조건을 선택해야 하는데, 무역업자는 기본조건을 선택하고 화물과 수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부가위험을 추가
수취증의 입수선적지시서에 의해 화물을 선적하고 나면 일등항해사로부터 본선에 화물을 적재했다는 증명서인 본선수취증을 교부받는다. 실무상으로 본선수취증은 선박회사 내부에서 컴퓨터통신 ... 으로 왕래되며 화주의 특별한 요청이 없는 한 발급되지 않는다.본선적재시 외관으로 보아 양호한 상태에 있으면 그 내부상태에 대해서는 선하증권의 내용부지약과에 의해 선박회사가 면책 ... 되지만 외관상으로 이상이 있는 것을 그대로 인수하면 나중에 선박회사의 과실이나 테만으로 인해 손상이 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선사는 그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해 본선수취증
시킨 것으로서 이 증권에 기재된 화물이 항해중에 사고가 발생하면 이 사고에 대해서 선박회사가 보상해 주는 선하증권이다. 선박회사는 또보험회사와 모든 red B/L 발행분에 대해서 일괄 ... 으므로, 이들 잠재하자에 기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선박회사는 면책된다는 것을특약한다.이로조항(Deviation Clause)인명 및 재산 혹은 선박구조, 피난, 화객의 적양, 연료, 식량 등 ... 필수물자의 적재를 위해서 항로밖을항행하거나 예정항이 아닌 다른 항(prot)에 기항할 수 있다는 취지를 특약한다. 통일조항은 이 조항에대한 선박회사의 면책을 인명 및 재산의 구조
, 정기용선자, 항해용선자), 선박관리인, 운항업자, 구조자, 책임보험자, 무한책임사원 등이 포함된다.2. 책임제한의 인정, 불인정(1) 책임제한이 인정되는 채권은 상법 제746조의 1 ... . 24. 88다카16294)(요지) 선박소유자의 유한책임한도에 관한 상법 제746조, 제747조의 규정들은 선하증권상 면책약관이나 책임제한약관을 둔 경우가 아니면 운송계약상의 채무 ... ) 선박 소유자의 책임근거(1970. 9. 29. 70다212)(요지) 선장 기타 해원이 직무를 행함에 당하여 고의 또는 과실로 제3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에 선박소유자가 지
의무 위반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 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보험금 지급사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제20조(가입자의 고지의무)의 고지의무를 위반 ... 을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인하여 알지 못하였을 때2. 회사가 그 사실을 안 날부터 1개월 이상 지났거나 또는 책임 개시일부터 보험금지급사유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2년(건강진단을 받 ... 에 영향을 미쳤음을 회사가 증명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보험금을 지급합니다.5.면책사유 및 책임사유운송인은 다음 각 호의 사실이 있었다는 것과 운송물에 관한 손해가 그 사실로 인하여 보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