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세원 , 「동북아 시장통합은 가능한가」, 한국경제연구원, 2005
· 김주영,「사례중심의 동북아 진출전략-중국 동북지역」, 한국수출입은행, 2006.
· 대한상공회의소, 「중국 양자강 상류지역 투자환경과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1995.
· 이영광 , 「동북아 경제협력의 기대와 방안 - 한중일 FTA의 기대효과와 추진방안」, 공공정책연구 ,2003
· 이인석,「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과 남북한」, 인천발전연구원, 2005.
· 이창제 , 「한중일 FTA의 전망과 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 지광수 외,「중국지역연구」,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7.
· 한광수,「인천과 중국 주요 경제특구의 경제협력방안 연구」, 교수논총, 2003.
· 후자오량, 「중국의 경제지리를 읽는다」, humanist, 2005.
· 한국 수출입은행 해외 경제 연구소, 「홍콩의 국가 신용도 평가리포트」, 한국 수출입은행 2008
· 「동북아 경제협력:통합의 첫걸음」,안충영,이창재- 전영사
· 「일본의 경제와 통상」,조준현,최성일 - 부산대학교 출판부
· 「몸부림치는 한·일 경제」,이종윤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다시 일어난는 경제대국 일본」,최인한 - 김&정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5, 동북아 경제합력과 경제특구
· 박정동, 2003, 동북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상에 관한 고찰, 인천발전연구원
· 다니구치 마코토, 2007, 동아시아 공동체, 울력, 김종걸 · 김문정 옮김
· 김용복, 2002, 엔블록과 동아시아 경제, 책세상
· 김대래 외4, 2004,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미래, 신지서원
· 강형욱, 2007, 한중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추진 전략, 삼일
· 이창재 외5, 2005,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데렉 W 얼윈, 『유럽통합사』, 노명환 편역, 대한교과서, 1994
· 이남주 외, 「좌담: 탈중심의 동북아와 한국의 ‘균형자’ 역할」, 『창작과 비평』가을호 (2005), pp.15-50.
· 최장집,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 『민족주의, 평화, 중용』, 최상용 외 엮음, 까치글방, 2007, pp.17-62.
· Benedict Anderson, 1997, "Introduction" in Mapping the Nation, p.1.
· Eric Hobsbawm, "The Future of the States" in Development and Change 27 (1996)
· Peter Katzenstein, A World of Regions: Asia and Europe in the American Imperium,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ch.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