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가요(고대가요)의 전반적인 특성
- 최초 등록일
- 2008.09.25
- 최종 저작일
- 2008.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200원

판매자love*******
15회 판매

소개글
국문학 자료의 시초인 상고시대 가요의 특성과 현존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1.상고가요의 기원·발생과 제천의식
2.상고가요의 개념
3.현존가사
1)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2)황조가(黃鳥歌)
3)구지가(龜旨歌)
4.상고가요의 특성
(1)상고가요의 율격
(2)내용적 특성
(3)형식적 특성
5.상고가요의 발전과정
III.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서론
고대부족 국가 시대에서 삼국 시대 초기까지 향가 성립 이전에 불린 노래를 통틀어 상고 가요라고 한다.
농경 생활을 위주로 했던 우리 조상들은 농사가 시작되고 끝나는 시기마다 각각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추며 노래를 부르고 놀았다는 문헌 기록이 전한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백제의 오월제(五月祭) 등과 같은 제천 의식이 그것인데, 이 과정에서 행해진 원시 종합 예술로서의 제의(祭儀)놀이 속에서 고대 가요가 발생했으리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이렇게 하여 발생한 가요는 집단적 민속요와 개인적 서정요로 분화되어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 같은 고대 가요는 오늘날 거의 전해 내려오지 않고, 다만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 및 중국의 문헌에 단편적으로 한역되어 전해 오고 있을 뿐이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고조선 시대의 서정적 비가(悲歌)라 할 수 있는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와 주술적·제의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구지가(龜旨歌)> 및 개인의 서정을 읊은 최초의 노래라고 할 수 있는 <황조가(黃鳥歌)>가 있다. 도한 노래는 배경 설화와 함께 이해하여야 고대 가요의 참 모습과 고대인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하여 선조들의 생활과 사고를 이해하고, 그 속에 형상화된 상징들을 고찰함으로써 시가 문학 발생의 배경을 음미해 보기로 한다.
II.본론
1.상고가요의 기원·발생과 제천의식
인간의 생활이 점차 원시적인 생태에서 벗어나고 생활수단이 분업화되어가면서 예술도 차차 종합적인 형태에서 해체·분화되어 표현방법이 다양해지자 시가·무용·음악 등 개별적인 분야로 독립하게 되었다. 이렇게 따로 떨어져 나온 시가는 구전(口傳)의 형태로 전승되면서 구비문학(口碑文學)을 이루고 문자를 갖게 된 이후 그것이 문헌에 정착됨으로써 신화와 잔설 또는 상고가요의 한역가(漢譯歌) 등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참고 자료
「문학향기 고전문학」 심재원·구동원 공저. 2004. 형성출판사
「한국 고전문학 산책」조평환·허원기·전경원 공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한국 고전 시가론」정병욱. 신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