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상고가요와 향가
- 최초 등록일
- 2004.12.01
- 최종 저작일
- 2004.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lov*******
7회 판매
소개글
향가와 상고가요의 전반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몇가지 작품을 간단히 분석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고가요
1) 상고시대의 구비문학
2) 작품소개
① 황조가
② 구지가
③ 공무도하가
2. 향가
1) 향가의 표기방법
2) 향가의 전반적 성격
3) 작품소개
① 4구체 향가 - 서동요
② 8구체 향가 - 처용가
③ 10구체 향가 - 원왕생가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고가요와 향가는 우리나라 고대 초창기의 문학이다.
상고가요는 신라 향가 이전의 시가를 뜻하는데, 이 당시에는 표기수단인 문자가 없는 사정 때문에 구전성을 면치 못하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구전성을 면하지 못했다. 그런 이유로 현재 전하는 작품이 많지 않고, 현재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상고시가에 대한 고찰은 그 이후의 장르들에 끼친 영향의 관점에서 보나, 반만년 역사에 뿌리 내린 가무를 즐기는 삶의 최초 모습을 반영한 가요, 시의 초기형태라는 점에 보나 매우 의미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
향가는 향찰이라는 문자로서 표기되어 내려온 최초의 문학 장르라고 볼 수 있는데, 현재 균여전에 11수, 삼국유사에 14수로 총 25수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향가는 빼어난 상상력과 숭고한 시정신을 세련되 수사와 기교로 형상화함으로써 수준 높은 시 세계에 도달하여 영원한 가치를 지닌 국문학의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또한 고대 국어 연구에 있어서도 가장 중심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우리나라 고대 초창기의 문학인 상고가요와 향가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