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졸업논문입니다.
김남주의 시와 그의 시 변화입니다.
목차
1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사 검토
Ⅱ 시인 김남주 조명
1 시인의 생애
2 김남주의 시 세계
ⅰ초기시
ⅱ옥중시 ( 옥중시에 반영된 시인의 사상)
ⅲ출감후의 시 (시의 변모양상)
Ⅲ 맺음말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김남주(金南柱) 그는 한시대를 누구보다 열렬히 사랑하고 노래 하였으며, 시대의 모순과 부조리에 누구보다 첨예한 대결을 보여준 사람이었다. ‘물봉’이라는 그의 별명이 말해주듯이 그는 민중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보였지만, 이땅의 군사독재자, 매판자본가, 부르조아 지식인들, 자유주의의 가면을 쓴 천민자본주의등 그가 싸워야할 적들에게는 일찍이 누구에게도 찾아보기 힘든 대책없는 혁명적 순결성을 가지고 맨몸으로 부조리에 맞선 사람이었다.
김남주가 살다 간 시간은 해방직후부터 6.25와 군사독재,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되던 격동의 시기였다. 생활고에 시달리는 민중들, 자신의 부를 유지하려 유신독재 체제를 지지하던 부유층들이 난무한 이러한 때에 그는 소위 해방둥이로 태어나 진보적 지식인의 이상이던 소비에르연방이 무너지던 90년대초에 그가 싸워왔던 시대와 함께 죽음을 맞이했다.
참고 자료
강대석, 『김남주 평전』, 한얼 미디어, 2004
김남주, 『진혼가』, 연구사 1984
김남주, 『나의 칼 나의 피』, 실천문학사, 1987
김남주, 『조국은 하나다』, 남풍출판사, 1991
김남주, 『사상과 거처』, 창작과비평사, 1991
김남주, 『이 좋은 세상에』, 한길사, 1993
김남주, 『옛 마을을 지나며』, 문학동네, 1999
김남주, 『불씨하나가 광야를 태우리라』, 시와 사회사, 1994
문익환 외, 『피여 꽃이여 이름이여』, 시와 사회사, 1994
박세길, 『다시 쓰는 한국 현대사』, 돌베개, 1988
논문자료
박연순,「민족문학에 대한 일 고찰」,『국어과 교육10』, 부산교육대학국어교육연구회, 1990
이석철,「김남주 시 연구」, 국민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3
임선영,「김남주 시 연구」, 대전어 문학, 1995
임헌영,「김남주의 문학과 작품세계」,『취경문학』, 취경, 1989
김영신,「김남주 시의 서정성 연구」,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논문, 2001
김중현,「김나주 시 연구」, 경희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
박미숙,「김남주 시 연구」,원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8
지규옥,「리얼리티와 서정성을 중심으로」, 인하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박진향,「김남주 시 연구」, 경희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이길종,「김남주 시 연구」, 여수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