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과제] 김남주 시인론
- 최초 등록일
- 2023.02.28
- 최종 저작일
- 2022.07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김남주 시인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시들을 분석함으로써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를 알아본 시인론 레포트입니다. 김남주 시인과 그의 시세계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김남주의 생애
2. 김남주의 시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김남주(金南柱, 1946년 10월 16일 ~ 1994년 2월 13일)는 대한민국의 시인, 시민·사회 운동가로 한국의 민족문학을 대표하는 사람이다. 대한민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자리매김하고 있는 그는 오늘날 1970년대 한국 현대시단을 대표하는 저항시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김남주가 살다 간 시대는 이른바 격동의 시기였다. 해방 직후 6.25 전쟁이 일어났고 이승만의 독재가 펼쳐졌으며, 군사독재정권이 자리 잡고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되어 갔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김남주는 이 땅의 독재와 불의한 사회에 맞서 싸우는 데 한평생을 바쳤다. 그가 시대의 모순과 부조리에 맞서 싸우는 데 있어서 주 무기로 사용하였던 것은 바로 시였다. 그렇기에 김남주의 시를 보면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글에서는 필자가 선정한 김남주의 시들을 통해 김남주가 어떤 인물이었으며 어떤 생각을 가지고 격동의 시대를 살아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본론
1. 김남주의 생애
김남주는 1946년 10월 16일 전남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535번지에서 태어났다. 해남중학교에 입학한 김남주는 세계사를 가르치던 하대성 선생님의 수업 내용에 감동해, 시대정신에 주목하면서 올곧은 이상주의를 실천하는 삶을 동경하게 되었다. 1964년 광주제일고등학교에 합격한 그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 반대하여 이듬해 자퇴를 결행하며 자신의 소신을 행동으로 옮겼다.
참고 자료
박선욱, 2020, “혁명 이념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전사 시인 김남주”,
https://archives.kdemo.or.kr/contents/view/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