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등교육 제도 자체의 구조적 개혁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대학 내부의 교육운영 원리에 대한 개혁이 학교마다 시도되고 있다. 학부제 도입, 교양 필수과목의 조정 및 대학 교양교육의 의미 재 설정 등을 그 예로서 들 수 있다. 대학의 교육운영 개혁과 더불어 이에 대한 찬반논의가 제기되면서 학과제, 학점제, 교양 필수과목제 등의 대학 교육과정 운영방식이 한국대학사에서 언제, 어떠한 과정을 거쳐 도입되고 정착되었는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글에서는 대학중심의 고등교육체제가 시작된 미군정기에 대학 교육과정 운영 원리들이 새롭게 도입되었다고 보고, 새롭게 도입된 원리들이 무엇이며, 그 원리들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도입되었으며 또 어떻게 실행되고 있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새롭게 도입된 대학 교육과정 운영원리들의 내용과 적용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미군정기에 일어난 고등교육 변화의 의미 및 그 성격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미군정기에 새롭게 도입된 고등교육 운영원리 가운데 특히 대학의 교수ㆍ학생 조직 방식으로서의 학과제, 교육과정 운영방식으로서의 학점제와 단위제, 그리고 교양 필수 과목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외에도 미군정기에는 사립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인가제, 국립 고등 교육기관 운영방식으로서의 이사회제 등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주로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측면에 한정하여, 새롭게 도입된 운영원리들의 내용과 실제 학교운영에서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어온 미군정기에 도입된 대학제도의 성격에 대한 입론을 재검토해 보려고 한다.
· 동아일보, 1946년 9월 12일자
· 유진오, 대학의 위기, 조선교육연구회, 조선교육제2권1호(1948년 1,2월 합병호)
· 한춘섭, 신학제에 관한 몇가지 고찰, 조선교육연구회, 조선교육제2권1호(1948년 1, 2월합병호
·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과내용 1946학년도(추정), 서울대학교 기록관 소장
· 국대안 파동 구술자료(구술자: 고병익, 면접자: 유성상, 일시: 1998.5.13, 장소: 민족문화추진회 이사장실), 서울대학교 기록관 소장
· 유진오, 양호기, 고려대학교출판부, 1977
· 국립서울대학교학칙,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동창회, 서울법대백년사자료집 제2권, 법문사, 1989
· 동아대학교 50년사편찬위원회, 동아대학교 50년사, 동아대학교, 1998
· 서울대학교 4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40년사, 서울대학교, 1986
· 서울대학교 50년사편찬위원회, 서울대학교 50년사(상), 서울대학교, 1996
· 숙대 30년사편찬위원회, 숙대 30년사, 숙명여자대학교, 1968
· 연세대학교 백년사편찬위원회, 연세대학교 백년사 1권, 연세대학교, 1985
· 중앙대학교사편찬위원회, 중앙대학교사, 중앙대학교, 1970
· 중앙대학교사편찬위원회, 중앙대학교사, 중앙대학교, 1970
· 이길상ㆍ오만석 공편, 한국교육사료집성 미군정기편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상)』, 홍지원, 1992
· 구보의삼 외 3인 편저, 현대교육사사전, 동경서적, 2001
· 김종철, 한국고등교육연구, 배영사, 1979
· 마월철, 한국근대대학の성립と전개, 명고옥대학출판회, 1997
· 박희병, 교육법해의, 교육주보사, 1950
· 사기창남, プロムナード동경대학사, 동경대학출판회,1992
· 손준식, 제국대학에서 국립대학으로: 전환기의 타이완 대학, 대학사연구회, 전환의 시대 대학은 무엇인가, 한길사, 2000
· 정선이, 경성제국대학의 성격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 청수일언, 일미の대학단위제도の비교사적연구, 풍간서방, 1998
· 토지법일, 미국교육사절단の연구, 옥천대학출판부, 1991
· Konrad H. Jarausch 편, 망전행남 외 역, 고등교육の변모, 소화당,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