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방문건강관리사업
- 최초 등록일
- 2022.01.25
- 최종 저작일
- 2021.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2. 서비스 대상
3. 방문건강관리서비스 방법 및 제공과정
4. 대상자 분류
5. 주요서비스 내용
6. 성과관리(지표)
7. 선택한 우수사례 요약 및 성공요인에 대한 본인의 의견
8. 해당 사업을 발전방안을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작성 하세요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보건소에 내소하여 건강관리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직접 가정 등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건강관리서비스로써,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 능력향상 및 허약예방 등을 통한 건강수준 향상에 그 목적을 두고 있음
- 서비스 및 콘텐츠 : 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 잘못된 건강습관을 바로잡고,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 에 도움을 주는 건강행태의 개선
- 인력 : 포괄적 건강관리로서, 의료 또는 비의료적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등 보건/의료인이 제공
2. 서비스 대상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및 접근이 어려우면서, 건강관리가 필요한 지역사회 주민
1) 방문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
- 흡연, 잦은 음주, 불규칙적인 식생활, 신체활동 부족 등 건강행태개선이 필요한 자
- 고혈압, 당뇨, 비만 등 만성질환 위험군 또는 질환군
- 노인 중 허약(노쇠)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한 자
2) 우선순위 고려 대상
- 연령 기준 : 만65세 이상 노인
- 경제적 기준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 사회적 특성 : 독거노인,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 북한이탈주민 등
- 건강 특성 : 관리되지 않는 만성질환자 및 만성질환 위험군, 장애인, 재가암환자 등
3) 제외기준
- 이미 질병 및 기능상태가 악화된 노인 장기요양등급 판정 등급자(1~5등급)는 제외
(단, 인지지원 등급자는 포함)
- 다만, 지역사회 통합돌봄선도사업 지역에 한해 이용일시를 달리하는 경우 노인장기요양 등급자에 대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 서비스 제공 시 장기요양제도의 방문간호서비스와 동 시간대에 제공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함
-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노인 장기요양등급자의 방문건강관리 실적은 지자체 합동평 가 지표등 사업수행실적에서 제외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