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방문건강관리사업
- 최초 등록일
- 2022.05.04
- 최종 저작일
- 2019.08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필요성
2.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및 추진방향
1) 목적
2) 추진방향
3.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사업내용
1) 사업대상
2) 대상자 발굴
3) 대상자 등록
4) 대상자 군분류, 군별 관리내용
5) 대상자 평가
6)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7) 유성구 보건소의 방문건강관리사업 현황
본문내용
2.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및 추진방향
1) 목적
(1) 취약계층의 건강인식 제고
(2) 취약계층의 자가건강관리 능력 향상
(3) 취약계층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
2) 추진방향
(1) 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의료이용 형평성 제고
(2) 고령사회의 도래 및 만성질환자 증가
(3) 건강생활 실천 유도 등 적극적인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활동
(4) 국민의료비 절감
(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3.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사업내용
1) 사업대상: 건강증진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회, 문화, 경제적 건강취약계층에게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1) 기준: 사회·문화·경제적 취약계층 중 건강위험군, 질환군 대상으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자를 지자체에서 선정
예시) 다문화 가족, 북한이탈주민, 독거노인, 지역아동센터, 청소년 쉼터 등
※건강위험군은 질환의심군과 건강행태위험군을 포함
※장기요양등급 판정자 제외
(2) 서비스내용별 대상
➀ 건강문제 스크리닝(건강행태 및 건강위험요인 파악): 사업 대상자 모두
➁ 건강관리 서비스
·건강행태 개선: 일반검진 및 생애전환검진 결과 정상인 대상자
·만성질환 관리 및 합병증 예방: 만성질환자
참고 자료
한국보건복지 인력개발원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교육
(https://inhealth.kohi.or.kr/main/inhealth)
최희정, 고정은 외 공저(2019), 지역사회간호학Ⅱ,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