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길수, 「북한에서의 광개토호태왕비 탁본과 비문에 관한 연구」, 『광개토호태왕비 연구 100년』, 고구려연구2, 학연문화사, 1996.
· 김영준, 「역주 한국고대사금석문 광개토왕비」,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사료총서 1』, 가낙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 정호섭,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2015.
· 서영수, 「광개토대왕비문의 연구사적 검토」, 고구려 발해연구, 1995.
· 여호규, 「광개토대왕릉비의 문장구조와 서사구조」, 영남학 25, 2014.
· 채희국(사회과학원),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중심, 2001.
· 심호택, 「광개토대왕릉비문 연구」, 대동한문학회, 2007.
· 이우태,「신라 금석문과 고구려 금석문의 차자표기」,『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2006.
· 이형구ㆍ박로희, 「황개토대왕릉비 신연구」, 『면정신문화연구』 29, 同和出版公社, 1986.
· 이성시, 「광개토대왕비의 건립목적에 관한 시론」, 『한국고대사연구』 50, 2008.
· 김정배,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분석』, 고구려연구재단, 2004.
· 임동석, 『광개토왕비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4.
· 권오엽, 『광개토왕비문의 세계』, 제이앤씨, 2007.
· 조우연, 「중국학계의 광개토왕비 연구 성과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49, 동북아역사재단, 2015.
· 박성봉, 「동아시아에서 (특히 한국사) 광개토호태왕비 연구의 역사적 의미」, 『광개토대왕과 동아시아 세계』, 고구려연구21, 학연문화사, 2005.
·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 손영종, 『광개토왕릉비 연구』, 도서출판, 2001.
· 정해렴, 『지봉유설 정선(精選)』, 현대문학사, 2000.
· 신채호, 박기봉 옮김,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06.
· 藤田友治(후지타 토모지), 『호태왕비 논쟁의 해명』, 주식회사J&C, 2004.
· 井上直樹(이노우에 나오키), 「일본학계에서의 광개토왕비 연구의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논총, 2015.
· 井上直樹(이노우에 나오키), 「1945년 이후 일본에서의 고구려사 연구동향」, 선사와 고대 통권 제28호, 한국고대학회, 2008.
· 왕건군(王健群), 임동석역, 『광개토왕비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4.
· 鈴木靖民(스즈키 야스시민), 이건하, 「日本에서의 廣開土王碑 拓本과 碑文 硏究」, 고구려발해연구 2, 고구려발해학회, 1996.
· 정인보, 『담원국학산고』, 문교사, 1955.
· 윤종갑, 「중국 불교와 장송의례-중국인의 불교 수용과 신멸,신불멸 논쟁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 이진희, 『광개토왕비의 연구』, 일조각, 1982.
· 권오영, (서평) 「식민사학의 극복과 고대 한일관계, 김석형」, 『고대한일관계사』, 한국역사연구회회보, 2, 한국역사연구회, 1989.
· 삼박달,「한일 속한문의 세계-『일본서기』 구분론과 종결사 之」,『고대 공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동북아역사재단, 2011.
· 前沢和之(마에사와 카즈유키), 「광개토왕비문을 둘러싼 2·3의 문제점-신묘년 부분을 중심으로」『続日本紀研究』152, 1972.
· 佐伯有淸(사에키 아라키요), 『연구사광개토왕비』, (吉川弘文館), 1974.
· 浜田耕策(하마다 고사쿠), 「고구려광개토왕릉비문의 허상과 실상」, 『일본역사』, 304, 일본역사사, 1973.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