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비' 내용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06.27
- 최종 저작일
- 2020.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광개토대왕비의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광개토대왕비의 소재지, 규모, 내용, 신묘년 항목의 주요 논쟁에 대해 차례로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1. 개관
(1) 소재지
(2) 규모
2. 광개토대왕비의 내용
(1) 광개토대왕비-1번째 부분(제1면 1행~6행)
(1)-1 금석문의 첫 부분은 왜 고구려 건국신화로 시작을 하였는가?
(2) 광개토대왕비-2번째 부분(제1면 7행~3면 8행)
(3) 광개토대왕비-세번째 부분(수묘인 규정에 대해 서술)
(3)-1 광개토대왕의 수묘제 개혁
(3)-2 광개토대왕이 토벌한 성과 수묘인들의 이름을 다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
3. 광개토 대왕비의 주요 논쟁 : 신묘년 항목
본문내용
Chapter.1 개관
(1) 소재지
-중국 길림성 집안현 태왕향 구화리 대비가
<이러한 지리적 이유로 인해...>
-전통시대에는 광개토대왕비가 우리 유산이 아니라고 기록한 문헌들이 많았음.
세종 때 지어진 용비어천가에도 나와 있듯이 그 당시 소재지가 여진족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여진족의 유산으로 생각해 우리가 연구하지는 않았음. 과거 청나라 당시에는 청나라에서 시행한 봉금정책으로 인해 광개토대왕비가 있던 소재지에 사람들이 살지 않아 기억 속에서 잊혀 졌다가 봉금정책이 풀린 후 회의현이 설치가 되고 나서 관심 끌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연구된 것은 일본의 만주침략 과정에서 만주에 있던 군인들에 의해 비석이 분석되었음. 일본이 연구하던 중 광개토대왕비에서 ‘임나’라는 단어가 나오고 일본은 이가 ‘임나일본부설’의 근거가 된다고 주장하며 광개토대왕비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고, 역사적으로보다 정치적인 접근이 더 많이 됨.
(2) 규모
-높이 6.39m(약 아파트 3층 높이)&불규칙적인 모양
-총 4개의 면이 있으며, 1면 11행, 2면 10행, 3면 14행, 4면 9행으로 총 44행을 새겨놓음
-글자 1775자 중 150여자는 판독불가여서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
(한자는 한글과 달리 한자 하나에도 여러 의미가 때문에 한자 하나가 중요한 역할을 함)
Chapter.2 광개토대왕비의 내용
▸내용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 있음
<중 략>
(3)광개토대왕비-세번째 부분(수묘인 규정에 대해 서술)
▸수묘인이란?-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왕이나 귀족의 능묘를 지키고 제사 등의 행사에 동원되었던 연호(烟戶)
↳연호란?
-가(家)는 같은 의미이며 가족 공동체 혹은 가족적 혈연집단
▸수묘인제도는 왜 만들어졌는가?
-계세사상(繼世思想): 죽어서도 현재의 삶과 이어진다는 믿음
-조상숭배사상: 무덤은 죽은 자가 사후세계에서 이용하는 집과 같기 때문에 왕이나 귀족들은 죽 은 뒤에도 자신의 집과 같은 무덤을 잘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