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백석
- 최초 등록일
- 2021.10.21
- 최종 저작일
- 2016.08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시인 백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과 고향에 대한 사랑
2. 모국어, 고향의 언어에 대한 사랑
Ⅲ. 결론
본문내용
백석(1912. 07. 01~1996. 01)은 방언을 즐겨 쓰면서도 모더니즘을 발전적으로 수용한 시를 쓰는 한국의 시인이다. 지방적·민속적인 것에 집착하며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는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백석은 자신이 태어난 마을의 자연과 인간을 대상으로 지방의 토착어(土着語)를 사용하여 시를 썼다. 어린아이를 화자로 하여 고향의 모습과 인간의 모습을 나타냄으로 유년의 화자가 겪었던 아름다운 고향의 풍경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문학작품은 각각의 시인들의 독특한 정서와 경험이 반영되며 그러한 시인들의 여러 특성이 작품을 더욱 의미있고 좋게 만들 수 있었다. 시인들의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우리는 여러작품을 읽고 여러 가지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백석의 시의 특징 중 가족과 고향에 대한 사랑과 고향의 언어인 방언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참고 자료
한국현대시와 서정성, 김종태, 2004
백석 평전, 김영진, 2011
서정시학 비평선 01-백석 시 읽기의 즐거움, 최동호·방민호·유성호·김수이 외, 서정시학
두산백과 백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