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 김원봉의 사상과 민족운동

*병*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1.05.06
최종 저작일
2020.02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Ⅱ. 약산 김원봉의 생애

Ⅲ. 독립운동과 민족투쟁
1. 의열단 단장
2. 황포군관학교 입교
3. 조선민족혁명당 총서기
4. 조선의용대 대장
5. 대한민국임시정부 합류

Ⅳ. 해방과 국정 참여

Ⅴ. 맺음말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약산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큰 업적을 남겼지만 해방 후 월북하게 되면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약산은 의열단(義烈團) 단장,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 총서기,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대장,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부사령관,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정)의 군무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하였다. 의열단에서 약산은 암살·파괴활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활동은 고통 받고 있던 우리 민족에게 희망을 주었으며 동시에 일제의 공포심을 유발하기에 충분하였다. 약산의 명성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널리 떨치게 되었고, 덕분에 중국에서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조선 청년들은 정치·군사 교육을 받고, 항일투사로 성장할 수 있었다. 아울러 약산은 조직적인 독립운동을 위해 조선의용대를 창설하고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약산은 한국광복군 부사령관, 임정 군무부장을 지내다가 1945년 해방 이후 귀국하였으나 남한 정계에서 실권 있는 자리에 오르지 못하였다. 1948년 약산은 월북하고, 북한 내각에서 국가검열상(國家檢閱相)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58년 김일성(金日成)에 의해 숙청되었다. 이하 본문에서는 앞서 간략히 서술한 약산의 활동을 정리하고, 그 활동에서 드러나는 약산의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약산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Ⅱ. 약산 김원봉의 생애
약산은 1898년 경남 밀양에서 아버지 김주익(金周益)과 어머니 월성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약산의 집안은 중인 집안이었다. 약산의 삼촌은 통역관으로서 서울 출입이 잦았다. 아버지는 부농이었으며 삼촌 김주오는 한약방을 하였고, 고모는 황상규(黃尙奎)와 결혼하였다. 황상규는 마산의 창신학교(昌新學校), 밀양의 고명학교(高明學校)를 설립하며 한말 애국계몽운동을 몸소 실천한 인물이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약산의 집안은 일찍부터 개화의 세례를 받아 당시로서는 진보적인 집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석원화 저; 정운경 역, 『약산 김원봉장군』, 도서출판 고구려, 1997.
신주백, 『1930년대 중국 관내지역 정당통일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염인호, 「김원봉 – 의열투쟁과 무장독립운동의 선구자」, 『한국사 시민강좌』 47, 2010.
염인호, 『김원봉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3.
염인호, 『조선의용군의 독립운동』, 나남출판, 2003.
염인호, 『조선의용대·조선의용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韓相禱, 「金元鳳의 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운영(1932~35)과 그 입교생」, 『韓國學報』, 1989.
한상도, 『대륙에 남긴 꿈, 김원봉의 항일역정과 삶』, 역사공간, 2006.
*병*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무장투쟁 독립운동가, 김원봉 7페이지
    무장투쟁 독립운동가, 김원봉 -조선의용대 창설과 활동, 민족통일전선 ... 운동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 론 Ⅱ. 유소년기의 김원봉 Ⅲ. 의열단 ... 이여성은 조선으로 떠났다. 반면 김원봉무장투쟁이라는 독립운동 방략에
  • 한글파일 [한국사] 의열단장 '김원봉'의 생애와 독립운동 - 일제에 맞서 의열단 활동과 무장 독립 투쟁을 벌이다 6페이지
    운동가, 의열단장으로 잘 알려진 약산 김원봉항일무장투쟁 노선으로는 ... [한국사] 김원봉의 생애와 항일무장투쟁 일제에 맞서 의열단 활동과 무장 ... 에서 의열단의열투쟁의 의의,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한글파일 약산 김원봉 평전 독후감 (약산독립운동) 3페이지
    광복과 민족 화합이었던 것 같다. 김원봉의열단을 조직하고 강인한 ... 약산 김원봉 평전 독후감 (약산독립운동) 약산 김원봉 평전을 읽고 ... 약산독립운동 김원봉은 1898년 경남 밀양군에서 태어나 반일 감정을
  • 한글파일 약산 김원봉 3페이지
    건 등 굵직한 성과를 남겼다. 이렇게 급진적인 무장투쟁을 했던 의열단 ... 을 결성하여 본격적인 항일운동을 전개한다. “약산 김원봉”이 가장 잘 ... 그 이름이 바로 의열단이다. 의열단이 추구하는 의열 투쟁실상
  • 한글파일 한국 근현대의 이해 보고서 4페이지
    김원봉과 결혼해 의열단과 조선의용대에서 활동하며 항일 투쟁에 힘썼다 ... 태어난 약산(若山) 김원봉이다. 밀양은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탄생 ... 주나 만주에서도 무장 독립투쟁이 성행하였다. 더불어 소수의 독립운동가들로
  • 한글파일 한국근현대 속 인물의 조 및 재평가 7페이지
    이유는 항일 독립운동사에 손꼽히는 영웅이며 우리나라를 일본의 식민지배로부터 ... 인물인데도 말이다. 그는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체의 ... 나누었는데 김원봉은 김일성의 무장 항일투쟁을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하며 김일성의
  • 한글파일 밀양의 독립운동가 관련 리포트 20페이지
    . 2) 밀양의 독립운동가들 (1) 의열투쟁 계열 ① 의열단 의기가 ... 가들 (1) 의열투쟁 계열 ① 의열단김원봉 ③ 윤세주 ④ 최수봉 (2 ... 주류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다만 그가 의열단 이래 항일운동에 매진해온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약산 김원봉의 사상과 민족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