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시대 남북의 독립운동사 인식
- 최초 등록일
- 2021.04.29
- 최종 저작일
- 2020.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통일시대 남북의 독립운동사 인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초기의 독립운동사 간행
Ⅲ. 분단정부 수립직후의 독립운동사
Ⅳ. 냉전후기의 독립운동사
Ⅴ. 통일을 위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방향
Ⅵ. 맺음말
Ⅶ. 참고 문헌
본문내용
1945년 해방 이후의 역사를 시기구분 한다면 1945년 8월에서 1948년 8월까지 미소군정에 의한 해방시기, 1948년 8월부터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전의 시기인 분단시기와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인 통일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7.4 남북공동선언, 남북정상회담 합의, 금강산 광광과 같은 남북관계의 변화가 6.15공동선언의 배경이 된다는 것은 사실이나 시기를 구분할 만큼 역사적 변화를 불러온 것은 아니다. 통일시대의 의미는 2000년 이후의 역사가 통일을 위해 진전될 것이라는 희망이 전재되어 있는 개념이다. 통일은 독립운동과의 관계에서 보면, 통일이 돼야 독립운동이 완성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참고 자료
조동걸 저 한국 근현대사 개론 역사공간, 2014
예대열 저 세기와 더불어 에 서술된 북한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변화상과 함의, 2010
김희곤 저 통일시대 남북의 독립운동사 인식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