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의 민족주의가 전통 문화 인식에 끼치는 영향
- 최초 등록일
- 2024.01.06
- 최종 저작일
- 2021.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현대 한국의 민족주의가 전통 문화 인식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2)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Ⅱ. 본론
1) 발명된 전통, 단군
2) 왜곡된 전통, 문화정책
3) 재창조된 전통, 2002 월드컵
Ⅲ. 결론
본문내용
1)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nation)’은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등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 집단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회 집단이 느끼는 공통성은 언어와 문화, 역사, 종교 등의 경험을 중시하는 객관주의적 접근과 구성원들의 연대감, 상호작용, 주관적 의지 등을 중요시하는 주관주의적 접근이 가능하다.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국제결혼 등의 이유로 현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불과 50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은 단일민족 인식이 매우 강한 국가였다. 족보를 편찬하는 등 혈통을 중요시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한민족이 공동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으로 하나의 가족과 같은 유대감을 느꼈다. 과거 잦았던 외세의 침입과 일제 식민통치, 6.25 전쟁 전후 혼란스럽고 빈곤했던 시기를 함께 겪으며 우리나라 민족의 단결성은 점점 더 강해졌다.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인 ‘민족주의(nationalism)’는 이와 같은 시대를 간접적으로나마 접한 노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난다. 본래 민족주의는 19세기 이래 근대 국가 형성의 기본 원리가 되었으며, 외국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이나 독립을 목표로 하는 형태와 분열되어 있는 민족의 정치적 통일을 목표로 하는 형태로 크게 나누어진다. 대한민국의 역사를 떠올렸을 때 일제 강점기 당시 전자의 형태, 박정희 정부 시대에 후자의 형태가 나타났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2)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윤인진(2007)에 따르면 한국의 민족주의 담론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일제 식민통치 시기의 저항적 민족주의, 권위주의 정권하의 발전론적 민족주의, 민주화와 세계화 시대의 열린 민족주의 및 보편적 세계주의가 그것이다. 먼저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은 동학운동 시기부터 광복 후까지도 한국민족주의 담론을 이끌어갔다. 창시자인 신채호는 근대적 시각에서 한국의 사대주의사관을 비판하였다.
참고 자료
윤인진. (2007).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의 모색. 한국사회, 8(1), 5-29.
류시현. (2015). 한말 일제 초 단군과 고조선 인식의 체계화. 한국사학보, (61), 173-197.
김병구. (2017). 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 우리말글, 72():229-258.
김동노. (2010).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현상과인식, 34(3), 203-224.
임학순. (2012).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 인식 연구. 예술경영연구, 21(): 159-182
김수자. (2005). 현대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 양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4(2):231-246.
이진석. (2020). 한국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 민족사상, 14(1), 137-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