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표준평판계수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수를 측정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참조 바랍니다.
목차
1. Abstract
2. 서론
3. 재료 및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요약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무포자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생성하는 균으로 수질환경, 식품 등 환경 위생 관리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오염지표균이다. 실제 수질환경을 대장균을 이용하여 수영만 유입 공장폐수로 인한 오염도를 측정한 사례가 있고, 식품에서는 충무 북만일원 수하 식 굴 양식장해역의 굴 및 해수의 대장균군 분포로 오염도를 측정한 사례가 있을 정도로 대장균은 식품, 환경 위생의 오염지표로 자주 이용된다(1). 대장균은 또한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 내 분포되어 있는 정상 세균총으로 자연계에서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대장균은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의 특이 혈청형 대장균은 유아에게 설사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러한 대장균을 병원성 대장균이라 하며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사람에서 병원성을 나타내는 각종 외래성 대장균이 오염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일어난다(3).
국내의 대장균에 의한 집단식중독 발생 추이를 보면 2001년 93건 약 6천명, 2002년 78건 약 3천명으로 줄었으나 이후 2003년 135건 약 8천명, 2009년 228건, 2010년은 271건, 2011년 249건 약 7천명으로 집단식중독의 발생은 꾸준히 발생하였고 매년 발생 건수가 달랐다. 이중 원인물질이 밝혀지지 않은 것이 921건에 약 1만 5천명으로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원인물질이 명확하지 않다면 정확한 오염정도를 알 수 없어 집단식중독의 예방을 위해 정확한 검사법이 필요할 것이다(4).
참고 자료
이원재, 박영태, 성희경, 김무찬. 수영만의 수질한경과 대장균. 한국어병학회지. 4(1): 15-21 (1991)
이다연, 이주영, 왕해진, 신동빈, 조용선. 비빔밥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오염도 조사 및 특성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47(1): 126-131 (2015)
이제철, 이상민, 김정민, 이상화, 이유철, 김정완, 설성용, 조동택. 그람음성간균 Lipopolysaccharide의 면역학적 연관성. 대한미생물학회지. 30(3): 273-282 (1995)
고상무, 권요셉, 최종순, 오명주, 은종방, 김두운. 수산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로바이 러스 검출 및 제어기술 현황.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8(1): 18-23 (2013)
권요셉, 김두운, 김미숙, 김선재, 김정목, 류근태, 배상옥, 윤순일, 이홍렬. 식품미생물학 실험실습 cookbook. 여문각. 대한민국. pp.61 (2017)
식품공전. 제8. 일반시험법-4. 미생물시험법-4.5. 세균수-4.5. 1.일반세균수. KFDA식품 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나병진, 최송이, 김수창, 이동호, 서일원, 하상도. 학교 주변 어린이기호식품의 미생물학 적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2): 182-18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