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학국어 시간 과제로 조원들과 함께 한달에 걸쳐 작성한
소논문입니다. 정말 열심히 만든 논문이고 좋은 점수도 받았던
거니까 유용히 활용하실 수 있을겁니다.
목차
1. 서론
가.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나.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다. 논문의 구성
2. 이론적 배경
가. 주요 개념의 정의
나. 스타시스템의 등장 배경
3. 한국 대중음악에서의 스타시스템
가. 스타시스템의 전개 과정
나. 기업형 매니지먼트 산업의 추이
4. 대중가요 스타시스템 진단 (매니지먼트산업을 중심으로)
가. 부정적 측면.
나. 긍정적 측면
5. 매니지먼트산업의 발전방안 모색
6. 결론
본문내용
가.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현대 사회에서 문화의 비중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동시에 문화의 경제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문화의 경제화란 문화의 생산과 소비 과정이 경제적 효율성을 우선시하는 산업적 논리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 상품으로써 문화의 성격이 강조되고, 시장을 통한 거래메커니즘이 본격적으로 도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동규, ‘문화 상품과 시장에 대한 연구’, "언론문화연구", 제11집,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1993, pp. 349~350.
이처럼 문화의 영역에서 경제적 사고들이 접목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문화의 제반 생산양식에서 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장의 근본적인 지향점은 이윤의 창출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의 제반 영역에서 이윤의 안정적인 보장을 위해, 효율성을 강조할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문화의 영역은 이윤추구를 기본 목표로 하는 기업적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은 분야이다. Ibid., p. 351.
따라서 이윤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무언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의 정점에 스타가 존재한다.
대중문화가 스타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산업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스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스타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참고 자료
강근주, 뉴스메이커, 2001년 4월 12일자.
김광수 외, 스타를 만드는 사람들, 문예마당, 1997.
김동규, “문화 상품과 시장에 대한 연구”, 언론문화연구 제 11집,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1993.
김승수, 매체경제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김진해 옮김, 영화의 이해(루이스 자네티 지음), 현암사, 1999.
김학진, “한국 문화산업의 스타시스템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2002.
김호석, "문화산업의 스타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1998.
김훈순 옮김, 영화 커뮤니케이션(J. Garth & L. James 지음), 나남, 1994.
박해선, “대중음악 매니지먼트의 역동적 진화와 스타메이킹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를 중심으로”, 서강대 언론대학원, 2000.
오세인, “대중문화 매니지먼트 산업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6.
정민승, “학생들은 사이버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 언어 사용과 대중문화 수용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 연구 제 11권 제 2호, 2001.
정혜경, “한국 대중문화 영역의 스타시스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매니지먼트와 보조미디어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1996.
허행량, 스타마케팅, 매일경제신문사, 2002.
문화산업백서, 문화관광부, 2000.
월간 스포츠비즈니스, 1998년 10월호.
한겨레신문, 1999년 4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