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한국의)스타시스템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스타와 스타 시스템의 일반적 의미
2. 스타시스템의 발생배경
3. 헐리우드에서의 스타 시스템의 발생과 발전
4. 우리나라의 스타 시스템
5. 이미지를 통한 스타 만들기
- 김혜자, 황수정, 유지태
6. 스타 만들기의 전형 'H.O.T'
7. 스타 시스템의 덫
8. 팬, 팬덤
9. 결론
본문내용
스타 시스템이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타를 생산하고 관리하며 상업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스타시스템은 왜 만들어지고 이용되는가? 그 이유로는 문화상품의 네 가지 성격과 관련지어서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 문화 상품은 공공재적 특성을 지니며 위험의 크기가 다른 산업과 비교해서 크다. 공공재적 성격이라 함은 원판 생산에 대부분의 생산비용이 투여되고, 재판부터는 단지 복제 비용만이 추가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문화 상품은 다른 상품들과는 달리 비용을 책정하기가 힘들다. 또한 문화 산업은 초기에 막대한 자본을 필요로 하며 상업적 성공을 갸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위험 부담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산업과는 달리 많은 부담을 지니게 된다. 두 번째, 문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효용과 수요의 불확실성이다. 세 번째는 문화 상품의 경험적인 속성과 소비의 비반복성이다. 경험재란 상품을 소비한 후에 비로소 상품의 효용과 질을 알 수 있는 상품을 말하는데 이런 성격으로 인해 초기의 자본 투자는 막대한 부담을 지니게 된다. 또한 상품의 비반복성에서도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상품을 생산하는 것을 제약하게 된다.
참고 자료
리처드 아이어 저, 주은우 옮김 『스타-이미지와 기호』(한나래, 1995)
김호석 저, 『스타시스템』 (삼인, 1998)
크리스틴 글레드힐 엮음, 조혜정, 박현미, 곽현자 옮김,『스타덤 : 욕망의산업』(서울, 1999)
김창남 저,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