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건설재료실험 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9.06.16
- 최종 저작일
- 2015.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실험 목적
2.실험 관련 이론
3.실험 기구
4.실험 방법
5.실험 결과 및 분석
6.고찰
본문내용
실험 목적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일반적인 성질을 판단하고 배합설계를 해보고 또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필요한 각각의 재료들의 최상의 용적 비를 알기 위해서 실시한다. 실험 과정을 직접 해보고 슬럼프 시험의 결과를 통해서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정량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실험 관련 이론
(1) 배합 : 콘크리트를 만드는 각 재료의 비율 또는 사용량
(2) 배합설계 : 소요의 강도, 내구성, 균일성, 수밀성, 작업에 알맞은 워커빌리티 등을
가진 콘크리트가 가장 경제적으로 얻어지도록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및 혼화 재료의 비율을 정하는 것
*배합설계의 순서
1) 재료의 시험 2) 배합 계산 3) 시험 배합 4) 배합의 결정 : 시방배합 후 현장배합
(3) 배합설계 용어
1) 물 - 시멘트 비(w/c)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서 골재가 표면 건조 포화상태에 있을 때, 시멘트 풀 속에
있는 물과 시멘트의 질량비
2) 설계 기준 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 기준으로 한 압축강도
3) 배합강도
콘크리트 배합을 정하는 경우 목표로 하는 압축강도
4) 단위량
콘크리트 1m*1m를 만들 때 사용되는 각 재료의 양
5) 잔골재(S, 모래) : 5mm 체에 85% 이상 통과하는 것
6) 굵은골재(G, 자갈) : 5mm 체에 85% 이상 남는 것
7) 잔골재율(S/a) : 전체 골재량에 대한 잔골재의 용적비(%)
8) 갇힌 공기 : 혼화제를 쓰지 않아도 콘크리트 속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기포
9) 연행 공기 : AE제나 AE감수제 등의 사용으로 콘크리트 속에 생긴 기포이며, 콘크리트 부피의 4~6% 정도일 때, 워커빌리티와 내구성이 좋은 콘크리트가 됨.
(4) 골재의 함수상태
1) 절대건조상태(절건상태)
건조로에서 24시간 이상 110도에서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골재를 완전히 건조 시킨 상태
2) 공기중건조상태(기건상태)
실온,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된 상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