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건설재료실험 보고서 3(A+)
- 최초 등록일
- 2019.06.16
- 최종 저작일
- 2015.1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결과 및 분석
6.고찰
본문내용
실험명
(1) 콘크리트의 배합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3)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 시험
1. 실험목적
(1) 배합 : 콘크리트를 만들 때 사용되는 시멘트, 물, 골재, 혼화재 및 혼화제 등의 비율이나 양을 결정하는 배합 설계를 직접 해보고 강도와 내구성, 수밀성, 적당한 워커빌리티 등을 갖는 좋은 콘크리트의 배합비를 추정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 압축강도 시험 과정 및 그 결과를 통해서 콘크리트 수밀성을 평가할 수 있고 각 재료들의 비율 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요 강도를 얻기 위한 적절한 배합을 선정할 수 있다.
(3)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 시험 : 구조물을 파괴하지 않고 슈미트 해머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하여 해머의 반발 정도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한다.
2. 실험이론
(1) 시방 배합 : 시방서 또는 책임 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으로서, 이 때 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에 있고, 잔골재는 5mm 체를 통과하고, 굵은 골재는 5mm 체에 다 남는 것으로 한다.
(2) 현장 배합 : 현장에서 사용하는 골재의 함수 상태와 잔골재 속의 5mm체에 남는 양, 굵은 골재 속의 5mm체를 통과하는 양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시방배합을 고친 것이다.
(3) 설계 기준 강도 :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 기준으로 한 압축강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재령 28일 압축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중 략>
6.고찰
이번 시험은 압축 시험기를 통해 콘크리트 공시체가 부셔질 때까지 압축하여 압축강도를 구하는 시험과 콘크리트 공시체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시험이었는데 슈미트 해머에 매 회마다 반발경도 값이 측정되어 나타나므로 우리는 반발경도의 평균값과 범위를 구하고 공식에 대입만 하면 돼서 간단하고 편리한 시험이었다.
우리 조는 만일을 대비하여 타격을 총 24회 실시하였는데 나중에 평균값과 범위를 계산해 평균 ±20% 값을 제외하려했는데 운이 좋게도 단 1회의 반발경도 값도 오류가 나지 않아서 거의 완벽한 시험을 했다고 스스로 자부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