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포와송비 실험 보고서 ( 건설재료학 )
- 최초 등록일
- 2023.03.07
- 최종 저작일
- 2022.07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포와송비 실험 보고서 ( 건설재료학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 장비
4) 실험 방법
5) 결과 및 해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목적
정탄성계수와 포아송비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수식을 이용해 정탄성계수와 포아송비를 계산해본다.
실제 철근콘크리트의 설계에 있어 응력과 변형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탄성계수에 대해 알아본다.
2) 실험이론
[응력]
응력이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으로 나타낸다.
응력의 종류에는 전단응력, 수직응력, 비틀림 응력, 휨 응력 등이 있다.
1. 전단응력
물체 내 하나의 단면상에서 단면에 따라 같은 크기지만 방향이 반대인 힘이 작용하여 물체를 그 단면에서
절단하도록 하는 하중으로 재료를 가위로 자라듯 절단하는 하중에 생기는 응력을 말한다.
2. 비틀림 응력
축 등에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할 때 재료 내부에 생기는 전단 응력을 말한다.
3. 휨 응력
원형의 공시체에서 휨 모멘트가 작용할 때 공시체는 중립 축 밑으로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중립 축
위로는 인장응력이 작용하며 발생한다.
[변형률]
단위 길이당 변형을 말한다. 물체가 응력에 반응한 상태에서 변형량에 의하여 측정된다.
인장 변형률은 단위 길이당 증가량, 압축 변형률은 단위 길이당 감소량을 말한다.
[응력 – 변형률 관계]
특정 재료에서 나타나는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를 곡선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 곡선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정한 변형된 양, 즉 변형률에 대하여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나타내진다.
이 응력 – 변형률 곡선의 형태는 콘크리트의 강도, 품질 등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쪽의 곡선의 기울기가 강도가 낮은 콘크리트 쪽의 기울기보다 급하다.
참고 자료
건설재료 정탄성계수 및 포아송비 강의노트
KS F 2438 콘크리트 정탄성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