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A+ 슈미트해머 실험 보고서 ( 건설재료학 )
- 최초 등록일
- 2023.03.07
- 최종 저작일
- 2022.06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A+ 슈미트해머 실험 보고서 ( 건설재료학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장비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분석
본문내용
1) 실험목적
구조물을 파괴하지 않고 슈미트 해머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하여 해머의 반발 정도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하여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슈미트 해머의 반발경도를 보정하는 것이다.
2) 실험이론
[비파괴 시험]
이름 그대로 파괴하지 않고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며, 시공 중이거나 이미 사용중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신뢰성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강도는 콘크리트 품질과 특성 및 구조적 판단에 대한 기본적 파라미터이다. 일반적인 비파괴 시험의 종류로는 반발 경도법, 초음파법, 충격파법, 복합법 등이 있다.
앞서 말한 비파괴 시험 중 반발 경도법이 바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것이다.
[슈미트 해머]
슈미트 해머란 반발 해머 또는 콘크리트 테스트 해머라 불리는 것으로, 콘크리트 등의 반발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기이다. 콘크리트 압축 경도와 슈미트 반발에 의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암석의 강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사용상 주의점으로는 반발 경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 처음에는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기로서 슈미트 면을 평활하게 할 것, 가압 방향에 따라 반발 경도에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슈미트 해머의 종류]
형식별로 N형, P형, L형, M형 등이 있으며 N형은 보통콘크리트용, P형은 저강도 콘크리트용, L형은 경향 콘크리트용, M형은 매스 콘크리트용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반발 경도법이 슈미트 해머를 말하는데, 이런 반발 경도에 대해 알아보자.
[반발경도]
반발경도란 시험편에 물체를 충돌시켜서, 그 튀어 오름의 크고 작음에 따라 구한 경도이다. 이 방식의 의한 실용 경도 시험기는 쇼어 경도 시험기가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경도 표시의 사고 방식은 특정한 물체를 어떤 장소의 높이에서 낙하시켜서 튀어오른 높이가 크면 피충격재 즉 시험편의 흡수 에너지가 작고 따라서 단단하다고 하며, 반대의 경우에는 약하다고 한다.
참고 자료
KS F 2730 – 슈미트 해머 시험
인하대학교 슈미트 해머 시험 강의노트 P.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