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급성심근경색(MI) case -응급실
- 최초 등록일
- 2018.03.11
- 최종 저작일
- 2017.12
- 18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진단 방법
4. 증상 및 징후
5. 치료 및 간호
Ⅱ. ( 응급실 사례연구 Emergency room report)
Ⅲ. 간호과정
1) 환자의 간호문제 확인
2) 간호문제 해결 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심장은 크게 개의 심장혈관 관상동맥 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 ) ,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 (subendocardial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 infarction, ) , ST 심내막하경색증 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원인 및 위험소인
① 고령
② 흡연: 140/90mmHg
③ ≥ 고혈압 혈압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④ 당뇨병: 55 , 65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기 (2014), , 본간호학Ⅱ 현문사
김금순 외 성인간호 (2016), , 학Ⅰ Ⅱ 수문사
NANDA 간호 진단과 중재 가이드
보건복지부, 대한 의학회
Druginfo : https://www.druginfo.co.kr/
KIMS :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SML2016 , 종합검사안내 삼광의료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