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육] 성교육의 개념과 지도방법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성교육의 개념
2. 성교육의 목적
3. 성교육의 필요성
4. 성교육의 실태와 문제
5. 학교에서의 성교육
1) 학교에서의 성교육
2)학교 성교육 실태
3) 청소년의 성교육 실태
4) 지도방법
본문내용
성교육이란 성이란 낱말을 통하여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회생활을 통하여 서로 돕고 도와주며 인간적인 생활감정을 공유하고 이를 예찬하려는 것이다.
성교육의 대상은 태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모든 사람들이다. 최근에는 노년인구의 증가로 '노인의 성'이 관심을 끌고 있으며, 성교육도 생애교육의 한 분야로 되고 있다. 그러나 본교에서는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아동, 청소년에 한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아동기의 성적 발달을 크게 나누면 생리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 및 행동적 발달로 나눌 수 있다. 학교나 가정에서의 성교육은 "인간형성의 과정을 통해 성에 관한 생리·심리·사회·행동 등 제측면의 발달을 도모하여 풍부한 인간성과 사회성을 학습시키고 지도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성의식을 바르게 갖게 하고 성행동을 합리적이고 인격적이며 사회적으로 원만하게 하도록 돕는 교육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성품을 적절히 키워주어야 한다.
① 성을 자연스럽고 풍요롭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정서성
② 상호간에 입장을 존중해 주고 생명의 존엄성을 깨닫는 사회성
③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습관화하는 과학성
④ 성적인 욕구를 적절히 조정하는 자기조절력
인간의 성의 특징은 정신면이나 연대성에 있으므로 우선 성을 자연스럽고 풍요롭게 받아들이는 정서의 함양이 필요하다. 성에 대해 '망측하다. 싫다'고 느끼거나 흥미본위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성교육을 시킬 때는 어떤 지식을 준다는 입력학습만이 아니라 그것이 일상의 행동에서 몸에 배도록 연습시키는 출력교육도 필요하다. 이것은 성교육뿐 아니라 교육전반에서의 기본원칙이다. 이같은 교육을 통해 인간성은 고양되며 인격적이고 사회적인 성행동을 구체적으로 생활화할 수 있는 성격유형이 만들어진다.
요약하면 성교육은 전인교육의 일환이며 성에 관한 "인간적인 삶의 방식"을 키워주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