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행정의 영역을 크게 분류해 보면 조직, 인사, 재무의 세 파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세 파트는 모두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어느 한 영역도 소홀히 하거나 어느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 중요시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여기서는 그러한 세 영역 중 인사파트를, 그 중에서도 인사행정의 객관적 기준을 마련하는 지표 중 하나로써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근무성적 평정제도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Ⅱ.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
1. 개념
근무성적평정이란 공무원이 근무하는 정부기관 내에서의 능력, 가치관, 근무실적을 평정자가 체계적이고 정기적으로 평정하는 것을 말한다.
대규모 정부조직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문제는 조직 냉의 수많은 직원의 능력?가치관?태도 등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러한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능력발전, 자격과 실적에 따른 공정한 대우, 행정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무성적평정은 이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인사행정에 있어서 근무성적평정이 체계화되기 시작한 것은 실적주의와 능률주의 인사행정관의 대두와 함께 인사행정의 객관적 기준의 발견이라는 기술적 요청에서 비롯되었다.
전통적인 근무성적 평정제도는 능률성과 생산성에 강조점을 두어 공무원의 직무수행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인사행정의 표준화와 직무수행의 통제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현대인사행정에서는 전통적인 근무성적평정의 목적 이외에도 공무원의 능력발전 및 행정제도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1)
2. 용도?목적
근무성적평정은 이미 시험의 타당성과 교육훈련의 수여조사에 중요한 자료로써 사용된다. 근무성적평정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를 설명의 편의상 조직과 개인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조직차원의 근무성적 평정
조직차원에서 군무성적평정은 조직전체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도구로써 사용된다.
첫째, 근무성적평정은 시험성적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pp. 339~340
· 인사행정론 , 유 민 봉 , 문영사 , 1997 , pp. 508~510
· 인사행정론 , 유 민 봉 , 문영사 , 1997 , pp. 511~514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pp. 341~342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pp. 348~350
· 조직이론 , 오 석 홍 , 박영사 , 1990 , p. 226
· 새인사행정론 , 강 성 철?김 판 석?이 종 수?최 근 열?하 태 권 등저 , 대영문화사 ,
· 2000 , p. 330
· 인사행정론 , 김 재 기 , 대구대학교출판부 , 1998 , pp. 295~298
· 새인사행정론 , 강 성 철?김 판 석?이 종 수?최 근 열?하 태 권 등저 , 대영문화사 ,
· 2000 , pp. 333~334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pp. 358~359
· 새인사행정론 , 강 성 철?김 판 석?이 종 수?최 근 열?하 태 권 등저 , 대영문화사 ,
· 2000 , pp. 334~335
· 인사행정론 , 김 재 기 , 대구대학교출판부 , 1998 , pp.304~305
· 새인사행정론 , 강 성 철?김 판 석?이 종 수?최 근 열?하 태 권 등저 , 대영문화사 ,
· 2000 , pp. 336~337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pp. 363~364
· 인사행정론 , 유 인 봉 , 문영사 , 1997 , pp.545~549
· 인사행정론 , 김 재 기 , 대구대학교출판부 , 1998 , p. 313
· 새인사행정론 , 강 성 철?김 판 석?이 종 수?최 근 열?하 태 권 등저 , 대영문화사 ,
· 1996 , p. 323
· 공무원인사제도론 , 이 상 윤 , 대왕사 , 2000 , 364~369
· 인사행정론 , 김 재 기 , 대구대학교출판부 , 1998 , pp. 314~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