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고영복, 「새교육」, 통권 제 330호, 대한교육 연합회, 1992.
· 금장태, 『유교사상의 문제들』, 서울 : 여강출판사, 1990.
· 조진태 편, 『오늘의 충효교육』, 서울 : 문종사관, 1977.
· 김석원 역, 『論語』, 서울 : 혜원출판사, 1997.
· 김운태, 『한국정치론』, 서울 : 박영사, 1980.
· 김유혁, 『전통윤리와 현대사회』, 서울 : 청탑서림, 1989.
· 김익수 역, 『孝·忠經』, 서울 : 기공사, 1979.
· 김익수, 『한국 忠孝思想과 국민 정신교육』, 서울 : 성균관, 1980.
·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유가윤리 강의』, 서울 : 예문서원, 1995.
· 김태길 외, 『국민윤리원론』, 서울 : 부영사, 1983.
· 김형효, 『충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서울 : 대한교련, 1997.
· 남궁용권, 『교육사』, 서울 : 학문사, 1980.
· 성동호 역, 『孝經』, 서울 : 홍신문화사, 1994.
· 손인주, 『충효사상의 학교교육 실천방안』, 서울 : 대한교육 문화연구소, 1987.
· 염승봉, 『인간성 회복을 위한 인간교육』, 서울 : 법경출판사, 1988.
· 유재천 역, 『제3의 물결』, 서울 : 문화서적사, 1981.
· 유형진·강환국, 『국민윤리 교육개론』, 서울 : 형설출판사, 1982.
· 윤보현, 『한국충효사상의 발달에 관한 서적』, 서울 : 경문사, 1982.
· 이규호, 『민족적 정체성을 위한 투쟁』, 서울 : 문우사, 1983.
· 이돈희외, 『도덕과 교육』, 서울 : 노력개발사, 1975.
· 이상옥 역, 『禮記』, 서울 : 명문당, 1993.
· 이영춘, 『도덕교과 교육』, 서울 : 교육연구사, 1981.
· 이을호, 『현대인의 충효사상』, 서울 : 대한교육 문화연구소, 1977.
· 이자덕, 『한국인의 인간상』, 서울 : 삼화서적, 1977.
· 장기근, 『전통윤리의 忠孝와 본의』, 서울 : 교육평론사, 1977.
· 장진호, 『현대사회와 인간교육』, 서울 : 배영사, 1980.
· 장진호, 『교육과 사회』, 서울 : 대인출판사, 1986.
· 전정태, 『윤리교육의 이해』,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 차경수, 『忠孝敎育의 지도방향』, 서울 :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2.
· 교육연구사, 「주임강좌」, 제 6권 6호, 1986.
· 교육부, 『국민정신교육 지도자료』,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81.
· 국민윤리교재 편찬위원회, 『국가와 윤리』, 서울 : 학문사, 1980.
· 국민윤리편집위원회, 『신국민윤리』, 서울 : 대왕사, 1983.
· 국민윤리학회, 『사상과 윤리』, 서울 : 형설출판사, 1999.
· 새마을 연구소, 『충효사상』, 서울 :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0.
· 서울시 교육위원회, 『충효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농원문화사, 1978.
· 한국정신문화연구원,『국민의식의 현재적 진단』,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 구원, 1984.
· 한국청년 문화연구소, 『한국교육 2000년사』, 서울 : 민우출판사, 1982.
· 현대사회 연구소, 『사회정화 운동의 이념과 방향』, 서울 : 신현실사, 1981.
· <논문>
· 김기곤, "충효의 한국사상적 발달과 현대 교육적 발전을 위한 탐사적 연 구",「논문집」, 제 14집, 전주교육대, 1980.
· 곽만연, "충<<font color=aaaaff><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