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교육은 교사와 학생이 주체이며 피교육자들은 교육자의 교육지도에 의해 교육효과는 지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교육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더불어 교사평가제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시장 경쟁 체제로의 전환이 급속한 지금 현 시대에서의 사교육 종사자는 교과 연구 및 학생생활지도와 학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시대, 교육 개방화의 시대에서 교육 또한 서비스적인 면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며, 사교육에 대항하여 공교육이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학생과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교사의 의식 개혁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 의식 개혁만으로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미흡하다. 이에 따라 교사가 스스로 노력하고 교육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교사평가의 주요목적은 일차적으로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통해서 학생이 교육적 해택을 강화하는데 있으며, 이차적으로 개인의 조직발전에 대한 기여도 및 공헌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상체계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정보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교사평가제는 내용상 인사 고과 제도에 그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형식상 제도에 대한 법적 근거가 미약하고 구체적인 규정이 없기 때문에 유명무실한 제도로 전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육자와 피교육자 모두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평가제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해 봄으로써 향후 교원평가제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각종 교육관련 연구기관들 교육정보센터, 교육정보연구소, 교육정책정보센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중등교육연구소, 한국교육행정회, 한국초중등남북교육연구회, 한국교원교육학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 ※ 참고문헌 ※
· ◦ 김남순, “교사평가론”. 세영사, 1991
· ◦ 김민희, “한‧일간 교직관 및 교사상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 김정환, “전문성 신장 중심의 교사평가 방안”, 한국교육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김종환, “고등학생의 교사수업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8
· ◦ 김호권‧이성진‧이상주, “학교가 무너지면 미래는 없다”, 교육과학사, 2000
· ◦ 남궁은, “공통 사교육시장과 교육개혁의 미래”, 사교육 경감 대책을 위한 정책 토론회, 2004
· ◦ 문희경, “교실붕괴 어떻게 볼 것인가”, http://www.mokpofotum.or.kr , 2000
· ◦ 박장호, “인성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http://www.ks.ac.kr/~park ,2000
· ◦ 배천웅 외, “한국인의 교육관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81
· ◦ 배호순, “수업평가-수업효과 증대를 위한 평가적 접근”, 양서원
· ◦ 성기옥, “교원평가의 쟁점과 발전 방향에 대한 토론”, 교원정책 현안 토론회, 2004
· ◦ 성현석, “교육부의 교원평가 시안을 해부한다.”, 월간중등우리교육, 2005
· ◦ 송원재, “교원평가 “속설”과 “진실”, 교육비평 제19호.
· ◦ 신상명, 교원평가의 합리와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 ◦ 오인탁, “새아침을 열며” ,한국교육신문, 2001
· ◦ 원효원‧설현수, “학생에 의한 교사 교수활동 평가도구의 양호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2000
· ◦ 윤정일, “학교붕괴의 종합적 진단과 대책”, http://sun.interpia98.net ,2001
· ◦ 이병길, “학교야, 거북이 학교야, 뭐하니: 학교 붕괴의 원인과 그리고 대안모색”, http://home.hanmir.dom/~gil486/jabmun/학교야.html , 1999
· ◦ 이윤식 외, “교사양성체제 개선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4
· ◦ 이종각, “21세기 학교와 교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21세기 학교교육 발전방향 모색”, 학국교육과정평가원 주최, 2000
· ◦ 이종재 외, “한국인의 교육관-그유형적 특성과 갈등”, 한국교육개발원, 1980
· ◦ 이종태 외, “학교교육 위기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00
· ◦ 전제상, “교사평가의 준거개발연구”, 교육 행정학연구 제19권 제2호, 2001
· ◦ 전제상, “교사평가의 공정성 확보방안” 한국교사교육학회, 학국교원교육연구 20권 3호, 2003
· ◦ 정창현, “21세기 학교와 교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에 대한 토론, 21세기 학교교육 발전 방향 모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최, 2000
· ◦ 조흥순, “교원평가 무엇이 문제인가?”, 새교육3월호
· ◦ 하상묵, “공무원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합리적 운영방안”, 한국행정연구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