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기말정리
- 최초 등록일
- 2021.10.30
- 최종 저작일
- 2020.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기말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7장
교육행정에 관한 대통령의 주요 권한
① 교육의 관한 대통령령의 반포
② 중앙교육행정기관에 대한 지휘·감독
③ 주요 교육 공무원의 임명
④ 국무회의의장으로서 교육정책 수립에 대한 영향력 행사
교육자치의 원리
- 지방분권의 원리
- 자주성 존중의 원리
- 민중통제의 원리
- 전문적 관리의 원리
지방교육자치 원리
민주성의원리
전문성의 원리
① 지방자치에 보다 중점을 둔 원리
② 민주성의 원리는 두 가지로 구체화
- 주민자치의 원리(주민통제의 원리) : 주민이 그들의 대표를 통해 교육정책을 결정 → 교육위원회 제도
- 지방분권의 원리: 중앙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독자적·창의적·자율적으로 교육업무 처리
① 교육자치에 보다 중점을 둔 원리
② 전문성의 원리는 두 가지로 구체화
- 자주성 존중의 원리: 분리·독립, 정치적 중립성을 통해 자주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원리
- 전문적 관리의 원리: 일반 관료가 아닌 전문가가 관리해야 한다는 원리·교육감(장) 제도
현행 교육자치제에 대한 주요 쟁점
① 교육의 자주성 원리를 살릴 수 있는 교육위원회가 없다.
② 교육감 후보자의 교육경력을 낮춘 것은 교육의 전문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③ 교육자치는 광역단위에서만 실시하고 있어 주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교육자치를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④ 지방자치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⑤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국가와 지방의 책임한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비 전입금이 매우 미미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