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경영계획서 (고등학교의 교장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학교경영계획서를 작성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2.20
- 최종 저작일
- 2021.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목차
1. 학교장의 경영비전과 철학
2. 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가. 교육과정
나. 학교 특색 교육 프로그램
① 심리검사 워크숍
② 진로 체험 활동
③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
④ 자기(self) 포트폴리오 <Who am I?> 작성
3. 교직원 관리 및 지원
가. 조직구조 – 교육팀과 교무행정전담지원팀의 분리
나. 인사 : 1년 인턴제, 기록&문서관리 역량 중시
다.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4. 의사소통
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 학부모 집단상담
나. 학생, 교직원과의 의사소통 : 익명포맷, 자치활동
5. 학교경영평가
6. 기타 교칙 특이사항 : 교복 의무화 폐지
본문내용
가. 학교 경영관
1. 학생상 : 주도적으로 자신의 삶을 디자인하는 학생
2. 교사상 : 학생 개개인에게 진실하게 다가가는 교사
3. 학교상 : 학생과 교사의 자율성을 장려하는 학교, 학부모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학교
나. 학교 특색 사업
- 학생 : 자기 포트폴리오 <Who am I?> 작성
- 마음챙김-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
- 학부모 집단상담 (리더 : 교장, 코-리더 : 위클래스 선생님)
- 익명 플랫폼으로 교장에게 직접 건의
2. 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
가. 교육과정
1. 학교 교육 목표
- 상위 목표 :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기(self) 경향성을 탐색해나간다.
- 하위 목표
1.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활동을 선택할 수 있다.
2. 학생의 개성이 사회에서 인정받는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 정체감을 형성한다.
3. 정신이 건강한 학생을 양성한다.
2. 교육과정 편성
본교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1학기에는 공통 교육과정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1학년 2학기부터 3학년 2학기까지는 전 과목 전 영역 고교 학점제도를 채택하며 성취평가제에 의해 평가된다. ‘교육’을 본위로 둔다면 교과목은 교육, 즉 자기실현의 ‘소재’일 뿐이다. 따라서 모든 학생이 공통된 교육과정을 이수할 필요가 없으며, 학생의 자기 경향성에 적절한 과목, 학생의 내적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과목을 학생 스스로 선택하여 수강한다.
고교 학점제도가 안정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학생이 본인 스스로의 경향성을 잘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위의 표에서 공통 이수 영역으로 제시된 <학교 특색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이 스스로 본인의 경향성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므로 전교생 공통으로 반드시 이수하도록 한다. 아래는 <학교 특색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