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과 달릿 신학
- 최초 등록일
- 2010.04.22
- 최종 저작일
- 2009.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토착화 신학과 관련되어 민중신학과 달릿신학에 대해서 알아본 것이다.
신학 - 아시아 신학 - 민중신학, 토착화신학
목차
들어가는말
민중신학의 태동과 배경
안병무의 민중신학적 해석
서남동의 민중신학 방법론
현영학의 탈춤의 민중신학
1980년대 이후 민중신학과 이에 대한 새로운 성찰
민중신학의 새 지평
달릿신학
본문내용
◎ 들어가는말
민중신학은 1970년대 초 군사 독재정부의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수탈로 인해 고통당하고 있는 한국 민중의 처참한 현실에서 생성되어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 기독교계에 주목받는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민중신학은 민중을 해방되어야 할 대상일 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의 주체로 인식함으로써 여전히 서구식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한 해방신학 및 기타 지역신학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민중신학은 그 모태가 되어야 할 한국 땅에서 전통적 서구 신학과 신앙의 절대주의로 인하여 외면당하고 있다. 더욱이 1980년대 이후 민중신학이 맑스-레닌주의를 비판적으로 표방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으로 변질됨으로써 70년대의 민중신학의 순수한 신학적 의도를 잃어버렸다는 점에서, 그리고 90년대 경제 성장이후 민주화의 등장과 민중운동의 점차적인 소멸과 함께 그 정체성을 상실해 가고 있다. 그렇다면, 1987년 이래 "신세대"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우리에게 민족의 아픔을 안고 신학하려 했던 민중신학의 자리는 어디인가?
이제 이 민중신학의 태동배경과 이를 대표하는 안병무, 서남동, 현영학의 독자적인 민중신학적 이해를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인도의 달릿을 대상으로 한 달릿신학을 전개해나감으로써 과연 한국의 민중들과 인도의 달릿들에게 복음은 무엇인지 고찰해볼 것이다.
◎ 민중신학의 태동배경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신학을 말할 때, “민중신학은 상아탑의 연구실에서 나온 사변이 아니고 한국의 정치 현장에서 형성된 역사적 산물이요 신학적 귀결이다. 구체적으로 군사정권이 수립된 이래, 그들의 탄압 밑에서 그 정체를 드러낸 민중과의 만남과 그들의 고난에 어떠한 형태로든 참여한 결과 민중신학을 낳았다.”라고 한다.
1970년대를 전후해서 군사독재의 탄압과 개발경제의 착취에 의해 희생당하고 있던 민중들은 언론의 통제에 의하여 언제나 그 현실이 사회적으로 여론화되지 못하였다.
참고 자료
1. 『Frontires in Asia Christian Theology : emerging trends』, Sugirtharajah. R. S.
2. 『신학 사상 100호 - “민중신학의 어제 오늘 내일”』, 김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