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육
- 최초 등록일
- 2000.09.01
- 최종 저작일
- 1997.0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목차>
Ⅰ. 서론 ··· 1
A. 연구목적과 의의 ··· 1
B. 연구방법 및 구성 ··· 2
Ⅱ.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 3
A. 현대사회의 일반적 상황과 특성
1. 기술적 합리성 ··· 3
2. 급속한 사회변동 ··· 4
3. 구조적 다원주의 ··· 4
4. 문화적 상대주의 ··· 5
B.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성 ··· 6
1. 대중문화의 정의 ··· 6
2. 대중문화의 특성 ··· 7
3. 대중문화가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 7
Ⅲ. 대중문화와 기독교 교육 ··· 8
A. 기독교 교육 측면에서 본 대중문화 ··· 9
1. 문화를 바라보는 기독교적 관점 ··· 11
2. 기독교 교육의 대중문화관 ··· 12
B. 대중문화에 대한 수용 방안과 모델 ··· 13
1. 기독교 교육에서 대중문화 수용 방안 ··· 14
2. 기독교 교육에서 대중문화 수용 모델 ··· 16
Ⅳ. 결 론 ··· 17
Ⅴ. 참 고 문 헌 ··· 18
본문내용
Ⅰ. 서 론
A. 연구목적과 의의
한국 사회는 지난 50년 동안 해방, 전쟁, 혁명, 등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경험을 통해서 변화되어 왔다. 그리고 한국 사회는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를 거쳐 지금은 고도의 산업사회로 돌입하는 과정에 놓여있다. 住) 이종각, 「교회사회학총론」 (서울: 동문사, 1996), p. 296.
이러한 한국 사회의 발달과 변화는 눈에 보이는 외형적인 변화뿐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적인 변화까지 초래하였다. 즉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삶의 목적과 가치체계를 새롭게 구성하게 만든 것이다.
현대 한국 사회 이전의 사람들의 주된 관심은 경제, 정치, 그리고 정의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경제적 발전으로 의(依)․식(食)․주(住)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고 정치적 안정이 유지됨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이전 사회 보다 더 여유 있다 여가 시간을 가지게 되었고, 그들의 관심은 점점 문화라는 것으로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대중매체의 발달은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키게 되었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대중문화를 바라보면서 많은 우려를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대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대중문화라는 것이 대부분은 기독교적인 가치체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인 것과는 상반되는 가치체계에 의하여 만들어진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의 대중문화는 그 사회 안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대중문화의 경험과 가치체계에 의해서 판단하고 행동하게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현대사회 안에 살고 있는 기독교인에게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인은 두 가지 형태 나타나는 것인데, 하나는 자신도 모르게 사이에 자신의 판단과 행동의 근거를 기독교적 경험이 아닌 대중문화의 가치의 경험에 기초해서 행동하고 판단하는 사람들이고, 다른 하나는 기독교적인 경험을 지키려는 사람들인 것이다.
.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