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식량난에 대한 객관적 이해
- 최초 등록일
- 1999.11.03
- 최종 저작일
- 1999.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북한 식량난의 배경과 원인
(1) 해마다 약 2백만톤의 식량부족 - 만성적인 식량난
(2) 중·소의 지원 단절과 외화 부족으로 식량수입도 어려워
(3)1백년 만의 대홍수와 해마다 계속된 자연재해
2. 유엔 조사단의 분석
3. 우리의 작은 도움이 필요한 때
본문내용
북한 식량난은 이미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그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90년대에 와서 그 심각성이 고조됐다. 물론 80년대 중반 이전이라고 해서 북한의 식량문제가 없었다는 얘기는 아니다. 단지 이 때만 해도 구소련과 중국 등 동맹국으로부터 유류나 곡물을 무상지원받거나 국제가격의 절반 수준으로 수입할 수 있었다. 더욱이 당시 북한의 전반적인 경제사정도 지금보다 나았다. 그래서 북한은 국제가격이 월등이 비싼 쌀을 매년 20-30만톤씩 수츨하고 그 대신 2-3배나 값이 싼 밀가루와 옥수수를 수잆해 식량부족분을 메울 수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사정이 급격히 달라졌다. 지난 90년 이후 극심한 경제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북한은 지난해에도 -3% 안팎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3월20일 통일원 발표). 업친 데 덥친 격으로 93년도에 심한 냉해를 입은데 이어, 94년에 우박피해, 95년도에 100년 이래의 최대라는 물난리에 겪은데 이어, 96년에도 상당한 규모로 훙수 피해를 당하는 등 잇따른 자연재해가 북한농촌을 빈사상태에 빠뜨린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