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원평가제도 인식에 따른 교사 유형 연구 (Classify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Teacher Evaluation Syste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교원평가제도 인식에 따른 교사 유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41권 / 5호 / 217 ~ 24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아, 이동엽, 이혜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및 교원성과급 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라 교사를 유형화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인식은 제도의 목적과 실행의 과정적·관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사 전문성 향상, 학부모·학생 의견 수렴, 동기 부여 및 책임 제고, 갈등 유발의 4가지로 구분하여 투입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6가지 교사 유형을 도출하였다.
    교사들은 교원평가제도에 대하여 긍정적 기대와 부정적 우려가 모두 낮은 유형1,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교원성과급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2, 반대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나 교원성과급제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3, 전반적으로 교원평가제도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4, 교원평가제도에 대하여 평균 수준으로 인식하는 유형5, 전반적으로 교원평가제도의 효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6으로 분류되었다.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평균적인 교사의 인식 수준을 대변하는 유형5를 준거집단으로 하여 각 유형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의 혁신 문화 및 학교 만족도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직 경력이 길수록 유형1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특히 교원성과급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2와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3에 속할 확률에는 낮은 학교 만족도, 낮은 교사 효능감, 낮은 교육청의 학교 지원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편,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 교사 효능감, 개인적 유용성에 의한 교직 선택 동기가 높을수록 오히려 교원평가제도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유형4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으면서 동시에 교원성과급제로 인한 갈등 유발을 우려하는 유형6에 속할 확률은 교장 또는 동료교사 신뢰가 낮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높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자기 효능감이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인식 모두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 교원평가제도가 교사 간 ‘신뢰’에 기반하여 실행되지 못한 한계, 교직 경력에 따른 교사의 교원평가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제도 운영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eacher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and teacher pay-for-performance systems,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classifi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dimensions: professional development enhancement, feedback from parents and students, motivation and accountability, and conflicts among teachers. The study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six distinct teacher types: Type 1: Teachers with low positive expectations and minimal concerns about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Type 2: Teachers with a positive view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but negative perceptions of teacher pay-for-performance.
    Type 3: Teachers with a negative view of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but positive perceptions of performance-based pay.
    Type 4: Teachers with an overall negative percep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Type 5: Teachers with an average level of percep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Type 6: Teachers with a highly positive view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but concerns about conflicts among teachers due to performance-based pay.
    Using Type 5 as the reference group, representing the average teacher's perception level,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category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ype 1 was higher when schools had a low innovation culture and low teacher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was influenced by teachers exhibiting higher self-efficacy and having longer teaching experience. Types 2 and 3 were affected by low school satisfaction, low self-efficacy, and minimal support from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ype 4 was influenced by low trust in colleague teachers, low self-efficacy, trust,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 motives based on personal utility. Lastly,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ype 6 was affected by low trust in school leadership or colleague teachers, high self-efficacy, and shorter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eacher self-efficacy in relation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It also underscores the limitations of not implementing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based on "trust" among teacher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policy adjustments to account for differences in teacher perceptions based on their career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