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subject of Educ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0.08
22P 미리보기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새국어교육 / 85호 / 119 ~ 140페이지
    · 저자명 : 박재승

    초록

    우리가 살아가는데 의사소통만큼 중요한 것도 드물다. 말 한 마디로 상대의 마음에 고통을 주는가 하면,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의사소통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제안하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의 이론적 고찰과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되는 교원자격 검정에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이 [의사소통교육론]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게 되어 있다. 외국어 교육의 의사소통과 모국어 교육의 의사소통 교육은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의사소통이라는 공통점도 있겠지만 가르치는 내용의 수준은 마라톤과 걸음마만큼이나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언어는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알아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를 정확하게 알기란 어려운 것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지시대상, 그리고 언어 기호를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섬세하게 고려되어 쓰여진 것이 문학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명작에는 인생이 무엇이고 우리가 바람직하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가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의사소통 교육도 결국은 바람직하게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화법이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인간을 기르는 것이 아니듯이 의사소통 교육도 결국은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은 모국어 화자들에게 의사소통 교육을 하는데 매우 적절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ntertains one of its im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Starting with the freshmen in 2009, "Communication Education" became a required course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ere a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and that for foreign language speakers. They both share the ultimate goal of successful communication, yet they greatly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v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volved. Communicative competence comprises cultural and sociolinguistic abilities in addition to the basic linguistic competence. Therefore, education of communication in foreign languages faces far more serious challenges than education of native communication.
    We can carry out communication successfully only when we properly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n one hand and between the linguistic signs and the referents on the other. Literature provides excellent materials to study such components of communication with. Literature can teach us not only how to speak but also what to speak. Communication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better human relations and ultimately better living. Therefore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aim to teach how to advance human relations through communication, rather than to teach mere communication skills. And literature makes excellent teaching materials for communication education, especially for native spea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새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