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폭력행사의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Youth Viol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7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청소년 폭력행사의 영향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책개발연구 / 16권 / 2호 / 25 ~ 61페이지
    · 저자명 : 홍명숙, 박찬상

    초록

    본 논문은 날로 증대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폭력행사를 감소시키기 위해서폭력행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시도한 논문이다. 폭력행사에의 영향요인을 청소년 개인의 속성으로서 공격성과 심리적 갈등, 환경적 특성으로서 가정환경(가족 유대감, 부모와의 갈등), 학교환경(소외감, 교사의 무관심과 방임), 사회환경(폭력에의 무감각, 퇴폐폭력문화에의 노출) 으로 구분하고, 교육적 요인으로서 자기조절능력, 인성교육 등을 고려하였으며, 남녀학생간의 성별 특성이 폭력행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논문의 검정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공격성이 강할수록, 심리적 갈등을느낄수록, 가족과의 유대감이 약할수록, 학교에서 교사들이 폭력에 무관심하고 방임할수록, 사회가 퇴폐폭력문화에 노출될수록 폭력행사를 할 가능성이높았으며, 인성교육을 받을수록 폭력행사는 감소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다만 부모와의 갈등이 있을수록, 소외감을 느낄수록, 사회의 폭력 무감각, 자기조절 능력은 폭력행사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남녀학생의 성별 더미변수는 남학생일수록 여학생보다 폭력행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정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t presents an overview of theory and research on youth violence as a background for specific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What are the major causes of youth violence? Most violent behavior is learned behavior. We all have some potential for violent behavior ; we have observed others using violence and know how to do it. But while it may be a part of nearly everyone’s behavioral repertoire, most persons have non-violent ways of achieving their purposes which are effective in most situations. Further, their commitment to conventional norms and values inhibits their use of violent behavior and they are embedded in social networks (family and friends) and situations where this type of behavior would have serious negative ramifications.
    In this paper, as determinants of youth violence, aggressiveness, psychological conflict, weak family bonding, teachers’ indifferentism in school, vulnerable decadent culture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youth violence. Humanity or character education i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youth violence. But conflict with his or her parents, alienation in peer group, indifference on violence in society, self-regulation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youth violence. Lastly, gender as dummy variable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youth violence, i.d., boys are more violent than girls. Even at that, humanity or character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in youth violent resea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책개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