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과 국가공무원법 (The Basic Concept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A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08
28P 미리보기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과 국가공무원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9권 / 2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장경원

    초록

    국가행정을 이끌어 가는 공무원제도는 행정법의 실현 단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행정법의 영역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을 규명하는 것은, 그것이 공무원제도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공무원 관계 법령의 내용을 결정하고, 향후 법령 제・개정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우리 실정법이 헌법 제7조를 비롯하여 국가공무원법 등 각종 법령 등에서 공무원제도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기본이념이나 근본적인 가치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차원에서 더욱더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헌법규정과 직업공무원제도, 국가공무원법의 내용을 통해 공무원제도가 추구‘하고 있는’, 내지는 추구‘해야 할’ 근본적인 원리나 원칙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시대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직업공무원제도는 더 이상 과거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으로 고려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원리나 법치주의 원리를 근본가치로 생각한다면, 공무원제도는 이를 바탕으로 운용되어야 할 것이며, 직업공무원제도는 헌법이 추구하는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과 이를 실현하는 국가공무원법의 중간단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직업공무원제의 변화가 필요하다면 기본이념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국가공무원법에 반영되어야 한다. 동시에 공무원법 관계에서 시도되는 새로운 변화는 민주주의 원리와 법치주의 원리라는 근본이념에 충실하여야 한다.
    직업공무원제는 공무원들로 하여금 안정된 신분을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해 왔으나, 지나친 신분 보장으로 편익보다 비용이 증가하여 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직업공무원제도의 핵심내용인 공무원 조직의 안정성은 공직사회가 능률적으로 운용되고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오늘날 요구되는 공직자들의 전문성의 제고와 대 국민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을 통한 성과관리 및 임용의 개방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오히려 오늘날 우리의 공무원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이다. 다만 그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입법자들은 공무원제도에 의한 국가집행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다시금 그 기본이념 내지는 기본원리를 탐구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ivil Service System, which leads national administration,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realization of administrative laws.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identifying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is meaningful, because it determines the content of public officials-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direction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In addition to the Article 7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various laws such as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Act stipulate the content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By the way, there are no explicit rules for its basic concepts or fundamental values. Therefore,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In this paper, I tried to infer the fundamental principles or rules, which the Civil Service System pursues and should be pursu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Regul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n today'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e traditional Career Civil Service System can no longer remain in the past. As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are fundamental values. The Civil Service Syste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se.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seems to be in the middle stage between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pursu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f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traditional Career Civil Service System,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n a way that does not undermine its basic ideology. At the same time, new changes attempted in the civil service laws must be faithful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by guaranteeing the stability of their status. But this could not guarante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stability of the public service organization, which is the core content of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public service society or the active response to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through competition and the opening of public officials appointments to private sector are necessary. These changes are a desirable direction for our Civil Service System today. In the process of such change, our legislators have to seek out and apply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again so that the public administrative system based on the Civil Service System can be carried 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