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 강택민(장쩌민)에 관련된 내용.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강택민의 시기별 활동
1). 유년기의 강택민
2). 청년기의 강택민
3). 평생을 바꿀 인연
4). 지도자의 길
5). 총서기 강택민
6). 덩샤오핑 사망후의 강택민
7). 평화적인 정권 교체
2. 강택민 체제하의 정치
1). 강택민 시기의 정치체제와 제도의 개혁
2). 강택민 시대의 경제 정책
3). 강택민의 3개 대표론
Ⅲ. 결 론
※參考文獻※
본문내용
중국의 공산당이 16차 전국 대표대회(16大)를 기점으로 중국 공산당은 ‘혁명당’에서 ‘집권당’으로 탈바꿈 했다. 노동자, 농민의 계급정당에서 자본가 마저도 대표하는 정당으로 성격을 바꾸고, 자본가를 당원으로 받아들이는 강택민(江澤民)의 ‘3개 대표론이 채택되었다. 제10기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代) 회의를 통해 주석직을 후진타오(胡錦濤)당 총기에 물려준 강택민은 끝내 중앙 군사위주석직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중국권력의 중심이 이동한 중요한 사건이지만 아직 후진타오를 중심으로 중국의 미래를 점치는 것은 좀 이르지 않나 싶다. 제4세대 신지도부(胡錦濤, 吳邦國, 溫家寶, 賈慶林, 曾慶紅, 黃菊, 吳官正, 李長春, 羅幹)가 등장하였고, 제10기 전인대(2003.3)에서 국가 및 정부 지도자가 모두 제4세대 신지도부로 교체되어 신정부가 출범하였다고는 하지만, 우방궈(吳邦國)나 자칭린(賈慶林)등 그의 측근들은 후진타오를 견제할 요로에 배치돼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중국이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지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일본의 십년 넘게 계속되는 경제 불황과 아시아 전체의 경제침체 속에서 연일 놀라운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관심은 당연한 것 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중국의 주석이었고 후진타오에게 그것을 물려준 시점에서도 앞으로 어떤식으로든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강택민의 정치 행보와, 경제정책, 그가 제창한 ‘3개 대표론’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영화, 《강택민과 중국정치》, 서울, 문원, 1997.
김영화, 《중국정치리더쉽》, 서울, 문원, 2000.
김원곤, 《중국정치의 이해》, 충남, 남서울대학교 출판국, 2006.
김정계, 《중국의 권력구조와 파워엘리트》, 서울, 평민사, 1994.
김정계, 《중국정치론》, 서울, 평민사, 1997.
김정계, 《21C 중국의 선택》, 서울, 평민사, 2000.
김하룡, 《신중국정치론》, 서울, 나무와 숲, 2000.
서진영,《현대중국정치론》, 서울, 나남, 1997.
유세희, 《현대중국정치론》, 서울, 박영사, 2005.
이태환, 《중국의 국내정치와 대외정책》, 서울, 한울, 2007.
중국사회학과학원, 《강택민과의 대화》, 서울, (주)해강출판, 1997.
한홍석, 《강택민 시대의 중국》, 서울, LG경제연구원, 1997.
가오신, 《21세기 중국을 움직이는 최고 권력자들》, 서울, 창해, 2002.
로버트 로렌스 쿤, 《중국을 변화시킨 거인 장쩌민》, 서울, 랜덤하우스중앙, 2005.
미무라고지, 《중국 권력핵심》, 서울, 청어람, 2002.
브루스 질리, 《장쩌민 Tiger on the brink : Jiang Zemin and China's new elite》,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