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Freedom not to Breed and Self-determin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0.08
32P 미리보기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헌법연구 / 16권 / 3호 / 209 ~ 240페이지
    · 저자명 : 이호용

    초록

    재생산은 새로운 인간의 탄생과 관련된 임신부터 출생까지의 모든 방법과 과정을 포함하는 인간의 활동이다. 그리고 재생산권이란 이러한 재생산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체의 결정권 내지 통제권을 의미한다. 최근 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담론이 활발해 졌다. 담론을 제기한 계기가 된 사건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생명공학의 발전을 통한 재생산의 신기술의 등장이 여성의 재생산권에 주는 영향과 관련해서이고 다른 하나는 낙태 방지의 대책과 관련해서이다. 여성의 재생산권 측면에서 구분하자면 전자는 낳을 권리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낳지 않을 권리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헌법학의 관점에서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에 따라 먼저 논의의 전제로서 헌법상 자기결정권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 본 다음, 낳지 않을 자유의 헌법적 지위 및 각국의 관련 입법과 판례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여성에게 낳지 않을 자유는 어디까지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지에 관한 일정한 결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어떠한 공권력이 어떻게 낳지 않을 자유에 개입할 수 있을 것인가? 또 여성 측의 입장으로서 ‘낙태의 자유’를 헌법상의 권리․자유로서 인정할 것인가의 여부, 또 인정한다면 그 헌법적 근거와 한계는 무엇인가? 마찬가지로 태아의 입장으로서 태아의 인권향유주체성이 긍정된다면 태아의 생명에 대한 권리에 대한 헌법적 근거와 한계는 무엇인가? 이런 점에 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로 미국,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주요국가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일정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결론으로서 먼저 임신을 하지 않을 자유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피임의 자유에 대항할 헌법상의 권리나 규범은 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피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령에는 특히 강력한 정당화 사유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낙태의 자유와 관련해서는 태아의 인권향유성이 문제되는데, 낙태에 관한 법적 연구가 가장 왕성한 미국의 경우 프라이버시권으로 자유에 속한다고 보던 여성의 낳지 않을 권리는 최근 상당히 후퇴되고 있다. 독일의 경우에도 태아의 주관적인 생명권을 국가의 객관적인 생명보호의무의 뒤로 미루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와 임신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대치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태아의 인권향유주체성은 완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응 인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여성의 낳지 않을 자유에 대한 주요국의 법적 태도의 경향은 우리나라에서 낙태죄를 규율하는데도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이다. 끝으로 낳지 않을 권리의 성격에 관해서는 자유권이냐 청구권이냐를 대립시킬 것이 아니라 자유권을 주로 하면서 이 자유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해 보완적으로 사회권적 성격을 가짐을 인정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Reproduction is human activity that include all the method and process from pregnance and childbirth related birth of new human. And reproductive right is all sorts of determination right and control right in this reproduction. Recently the issue of reproduction is divided right not to breed and right to breed, the former contains abortion, birth control(prevention of pregnance) the latter contains right about reproduction using by highly developed technique of reproduction assistance medica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ormer issue in constitutional law's view point.
    First of all, by presupposition of discussion, I intend to conclude that how far right not to breed is admitted by studying that what self-determination right means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is, and then investigate states of freedom not to breed in constitutional law and legislation condition and leading case of major countries.
    What of and how governmental authority can intervene to freedom not to breed? In standing of woman, can woman abort as right of human? and what is ground of the right? On the contrary In standing of unborn child, can unborn child enjoy human rights as human and what is ground of it? Having the sense of problem of these point, I intend to examine the tendency of America, German, England, France and acquire a certain suggestion.
    As conclusions, related to freedom not to pregnant, because there are not rights and norm in constitutional law to oppose to the freedom, it is necessary the more powerful justification reasons in order to restrict it. And related to freedom to abortion, traditionally the character of the freedom is looked on as freedom right and determination right of woman is prior to life right of unborn child but recently this tendency have inclined gradually. This tendency of major countries as America and German and so on suggests many importance. And legal character of abortion right is freedom right mainly but to gurantee it substantially character of social right is should be not to de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