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협력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 참여와 확대 방안 (Consumer Participation and Expansion Plan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3
24P 미리보기
협력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 참여와 확대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 12권 / 1호 / 95 ~ 118페이지
    · 저자명 : 여정성, 이지영

    초록

    협력적 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는 재화를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빌려 쓰거나 나누어 쓰는 소비방식으로, 경기침체에 대처하고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소비를 ‘상품 등을 공유하는 소비활동’으로 정의하였으며, 협력적 소비 유형 중에서도 드림/나눔, 중고거래, 물물교환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전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유와 사용의 관점에서 협력적 소비와 공유경제 서비스의 차이점을 구분하였으며, 온라인 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 소비자간 거래를 중심으로 네 가지 측면에서 협력적 소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협력적 소비 참여 행태와 소비자인식을 알아보고, 협력적 소비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년 동안 협력적 소비에 참여한 횟수를 조사한 결과, 협력적 소비를 한 번 이상 경험한 사람은 많지만 이를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유경제를 통해 시장의 규모를 키워나가고 있는 해외 상황과 달리, 국내에서는 협력적 소비가 활성화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협력적 소비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어려움으로 드림/나눔은 물건의 품질문제가, 중고거래는 신뢰문제가, 물물교환은 정보 부족 문제가 주로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협력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건의 품질문제, 거래 상대방과의 신뢰문제, 정보 부족 문제 등을 보완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혜택, 신뢰성,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인식 수준이 협력적 소비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험자와 비경험자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친환경성은 세 가지 유형에서 모두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신뢰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다. 이처럼 협력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인식 조사는 협력적 소비를 구성하는 여러 유형들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기존의 소비자인식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응답자들 중 약 90%가 향후 협력적 소비에 참여할 의사가 있으며, 협력적 소비에 대한 경험여부와 혜택,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협력적 소비를 경험한 사람일수록, 혜택과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높을수록, 협력적 소비에 참여할 의사가 높기 때문에 협력적 소비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긍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관련 주체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term ‘collaborative consumption’ refers to a consuming method in which goods are borrowed and shared instead of being owned, just enough to satisfy consumers’ needs. It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way of consumption to cope better in the time of recession and to solve the current pollution problem.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term ‘collaborative consumption’ as a consumption activity of sharing g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consumption patterns: gifting, trading and bartering.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lassified difference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sharing economy service in terms of ownership and utility. Also, focused on transactions between consumers achieved in online sit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four aspects: realization of community through networking, trust between trade members, creation of social value and an alternative way of pollution probl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onsumers’ participation behavior regarding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their perception about ‘benefit’, ‘reliability’ and ‘environment-friendliness’. Also, we looked into the level of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investigated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it.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said they had experienced collaborative consump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 However, when asked about the number of times they engaged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responses were highly concentrated in ‘less than two times’. This means that although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s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it is still quite lacking. Unlike in many other countries where they are expanding the scale of the market by promoting ‘sharing economy’, it will take time to boost the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Korea.
    Second, difficulties confronted in the process of engaging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are: problems with product quality in gifting and lack of trust among consumers during transaction in trading. As for bartering, problems with lack of information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Thu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bout collaborative consumption, we need to draw up measures to complement the quality problem of goods, trust issues between consumers and information shortage problem.
    Third, the level of consumers’ perception about ‘benefit’, ‘reliability’, and ‘environment-friendliness’ was found to vary in different types that comprise the collaborative consumption. Especially, ‘environment-friendliness’ was recognized highly by all the three types, but recognition of ‘reliability’ was relatively low. This study helps us ge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each type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it may become an important base data that has potential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xisting awareness about collaborative consumption.
    Fourth, about 90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the future. Also, the level of experienc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and consumers’ perception about ‘benefit’ and ‘environment-friendliness’ were found to have a decisive effect on consum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consumption. Thus, to draw the positiv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collaborative consumption, related stakeholders’ effort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정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