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집단 대상 노인관련 교육의 효과성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Gerontological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대학생집단 대상 노인관련 교육의 효과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인복지연구 / 71권 / 1호 / 53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수영, 손태홍, 장수지, 문경주

    초록

    노인인구의 급증에 따른 연령차별과 세대 간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에게노인과 노화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세대 간 공존을 위한 공동체성을 회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강의와 더불어 노인 및 노화를 체험시킨 후 사전 사후 검증을 통해 노인관련 지식, 태도, 공동체의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참여대상자는 노인관련수업을 들은 참여집단, 교양수업을 들은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학기 초와 말에 노인관련 지식, 태도, 공동체의식을 검증하였다. 참여집단은 노인에 관한 지식과 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나타났다. 공동체의식은 노인과 동거경험, 종교, 노인대상 자원봉사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참여집단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통제집단은 모든 연구변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증가시키면 노인에 관한 지식과 태도, 공동체의식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대도시에서 성장하고 조부모와 같이 생활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노인관련 교육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서, 노인관련 교육의 효과와 확대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셋째, 참여집단의 긍정적인 변화는 젊은 세대의 노인에 관한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고 세대 간 갈등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교육은 우리 사회가 전환해갈 초고령사회 패러다임 속에서 모든 세대가 공존하는 고령친화적 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확대시킬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educating gerontological course for college students to prevent generational conflicts and ageism. Rapid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and younger generation’s general negative bias towards the elderly, germinates an attention for gerontologic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communal senses upon younger generation to facilitate harmonious intergenerational coexistenc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intergenerational gaps stemming from the younger generation's lack of understanding in aging and communal coexistence, negative bias toward elderly population.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the participa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 group was enrolled in gerontological course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enrolled in the general elective courses. Pre- and post- intervention assessed three dependent variables:student’s gerontological knowledg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and sense of commun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① After finishing up the course, the participan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knowledge level associated with the elderly. This positive change remained after controll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 factors. ② Participating the gerontological course also led to positive attitude changes toward the elderly. ③The gerontological course suggests an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sense of community from the participant group. By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i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sense of community.
    Major findings implicates the following factors:First, promoting interactive opportunities between the elderly and college students may lead to positive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population and communal sens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gerontological course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for students who grew up in metropolitan areas with no cohabitation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than those did not. The result from this particular student cohort suggests a positive effect from gerontological education and instigates an expansion of such educational methods. Third, the gerontological course’s active dynamic that converts controversial relationship between younger and elder generation into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is the core strength. Our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gerontological course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chieving this generational connection. Finally, our study directs a new path for the future gerontological course. The gerontological course for younger generation should aim at recognizing importance of the elderly-friendly community to secure high-quality coexistence among all gener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인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