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충주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
최초 등록일
2023.10.15
최종 저작일
2022.01
8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충주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균형이론
제2절 노인에 대한 인식
1. 노인에 대한 인식 개념
2. 노인에 대한 인식의 영향요인
제3절 복지의식
1. 복지의식의 개념
2. 복지의식의 영향요인
제4절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복지의식의 선행연구
1.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인식 선행연구
2. 청소년의 복지의식 선행연구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제2절 연구대상과 자료수집
제3절 주요변수 정의 및 측정
1. 종속변수
2. 독립변수
3. 통제변수
제4절 자료분석방법
1. 자료분석
2. 주요변수의 신뢰도분석 및 요인분석 결과

제4장 연구결과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복지수혜경험
3. 주관적 소득 계층
제2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국가의 복지책임인식 차이분석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분석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가의 복지책임인식 차이
3. 복지수혜경험에 따른 국가의 복지책임인식 차이
4. 주관적 소득 계층에 따른 국가의 복지책임인식
제3절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요인 분석
1. 변수들의 상관관계분석
2.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가설검증

제5장 논의 및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과 논의
제2절 연구의 함의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ABSTRACT

본문내용

국가의 사회체계는 세대 간 이해와 세대의 연속성을 전제로 한다. 양육, 교육, 의료, 주거, 일자리, 돌봄 등의 다양한 복지 영역과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생애 모든 단계에서 한 세대는 다른 세대의 협조가 필요하며 다른 세대와의 유기적인 관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는 세대 간의 조화와 연대가 필요하다(성경륭, 2015).
한국사회에서 세대갈등은 예전부터 존재해왔으나 2000년대 후반 이후 저성장으로 분배할 몫이 증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노인인구의 급증과 그로인한 근로세대의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 증가는 한정된 자원의 배분을 둘러싼 세대갈등으로 심화되고 있다(박재흥, 2009).
복지지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노인복지정책은 고령화 사회에서 자원 배분과 관련하여 중요한 복지이슈로 거론되고 있으며, 복지정책에 필요한 비용을 누가 더 부담하고 덜 부담할 것인지 그리고 혜택은 누가 보는지에 대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따지며 우리사회는 끊임없이 세대 간 분리와 사회적 불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오늘날 표출되는 이러한 세대갈등은 일자리와 연금이 그 중심에 위치해 있는데 일자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청년층과 중장년층 사이의 일자리 양극화와 최근 정년연장을 놓고 자원 배분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세대 간 배분적 갈등이라면 연금은 근로세대가 노인세대를 부양해야하는 세대 간 계약에 의한 갈등으로 볼 수 있다(박길성, 2011).
특히, 국민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인 국민연금제도는 세대 간 노인부양(연금부담)의 공평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제4차 국민연금 재정계산(2018) 보고서는 국민연금기금의 연간 수지가 2042년을 기점으로 적자로 돌아서고 2057년에 소진될 전망이어서 국민연금의 지속성을 둘러싸고 미래세대에 과도한 부담을 전가한다는 인식에 따른 세대갈등을 우려하고 있다.

참고 자료

고송. 2020. 『공적인 것의 쇠락. 합리적선택이론의 확산과 공공성의 위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권중돈. 2007.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김사현 · 주은수 · 손주영. 2013. 『아동의 복지의식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김영모. 1985. 『한국사회보장개혁론』. 중앙대학교출판부.
김태형. 2009. 『새로 쓴 심리학』. 서울: 세창.
김형주 · 연보라 · 배정희. 2020. 『청년 사회 · 경제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Ⅴ』.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희삼. 2015. 『세대 간 갈등의 분석과 상생 방안의 모색』. 한국개발연구원.
남기범. 2009. 『현대 정책학개론』. 서울: 조명문화사.
노대명 · 전지현. 2011.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18. 『제4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신광영 · 조돈문 · 이성균. 2003. 『경제위기와 한국의 복지의식』. 서울: 집문당.
유진. 1996. 『성인 ·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
이현주 · 강상경 · 김수완 · 이선우 · 정지현. 2013. 『근로 및 사회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차배근. 1992. 『태도변용이론』. 경기: 나남.
통계청. 2019. 『장래인구특별추계』.
통계청. 2021. 『고령자 통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00세 시대 종합 컨퍼런스: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홍대식. 1998. 『현대 심리학개론』. 서울: 박영사.
강소랑 · 문상호. 2011. “중·고령자의 삶의 질에 관한 증험적(Evidence-Based) 정책설계-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0(2): 353-382.
강철희 · 오양래. 2016. “시민의 복지의식과 기부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43(3): 113-139.
고관우 · 남진열. 2018. “대학생세대와 부모세대의 문화성향이 복지의식과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58: 123-158.
고혜진 · 정숙희 · 강병덕. 2014. “지역사회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 간 복지의식 비교: 중소도시 공무원. 복지위원 및 기관종사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8(4): 231-254.
권명순 · 노기영 · 장지혜. 2013. “대학생의 노인 이미지, 지식과 고정관련 및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3): 633-646.
김동심 · 김주현 · 주경희. 2020. “중고생과 대학생의 노인 인식”. 『청소년학연구』. 27(5): 147-168.
김문길. 2010.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한 인식. 태도 변화와 시사점.”. 『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험 통권』 167: 39-52.
김민주. 2017. “사회자본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학연구』. 36(1): 135-161.
김사현. 2010. “개인의 주관적 인식이 복지제도의 보편성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효과: 도구변수를 활용한 접근법”. 『사회복지연구』. 41(3): 213-239.
김사현. 2012. “노인복지서비스 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한 이중차이분석”. 『한국사회정책』. 19(1): 9-38.
김상곤 · 임한영. 2007. “노인유사체험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7: 225-248.
김상균 · 정원오. 1995. “90년대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5(1): 1-33.
김상미. 2017. “제주지역 청소년의 복지태도 유형과 인권의식, 정치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0: 99-123.
김수완. 2011. “복지국가의 정치적 균열에 관한 연구: 공적 노후소득보장정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7(2): 251-278.
김수완 · 안상훈. 2013. “한국 노동시장과 사회적 보호의 내부자-외부자 균열: 공적연금지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9(2): 83-103.
김신영. 2008.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후복지 책임주체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9(1): 23-42.
. 2010.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1(1): 87-105.
. 2017. “한국 노년세대 분화연구: 복지태도 측면에서”. 『사회과학연구』. 30(1): 197-221.
김영란. 1995. "이데올로기와 복지태도". 『고려사회학논집』. 9: 229-249.
김영숙. 2002. "중·고등학생의 노인 이미지에 대한 도시와 농촌의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1(3): 75-89.
김영순 · 여유진. 2007. "한국인의 복지태도: 탈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2007한국패널심층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7-306.
김윤정 · 정선아. 2001.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73-183.
김윤정 · 강인 · 이창식. 2014.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2(1): 65-75.
김윤택 · 서재욱. 2014.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동향과 전망』. 90: 331-378.
김윤택 · 유승호 · 이훈희. 2013.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타계급성과 정치적 기회의 재평가”. 『한국학연구』. 45: 183-212.
김지연 · 김민희· 민경환. 2012. “한국판 노인차별주의 척도와 타당화-대학생 표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6(4): 89-106.
김지형 · 장윤옥. 2001.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노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 19(3): 83-99.
김태일 · 최하정. 2011. “복지에 대한 정부역할 인식의 비교분석”. 『사회보장연구』. 27(2): 331-356.
김현주. 2009.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7(2): 53-70.
김혜경. 2013. “노인과의 긍정적 교류경험이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10(4): 45-68.
김화선. 2016. “노인복지실무자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태도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7(4): 1-22.
노법래. 2014. “한국 사회의 시기 및 계층간 복지국가지지 변동에 관한 종단연구”. 『행정논총』. 52(4): 139-164.
류만희 · 최영. 2009.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1): 191-210.
류진석. 2004.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 56(4): 79-101.
문영미 · 오수경. 2008. “청소년들의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극동사회복지저널』. 4: 105-119.
박경란. 1994. “부모-조부모 관계의 질이 청소년기 손자녀-친조부모간의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부산시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4(2): 74-89.
박경란 · 이영숙. 2002. “노인에 대한 지식과 경험증가가 대학생의 노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37-51.
박경민 · 임동영. 2016. “대학생의 노화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부양의식”. 『계명간호과학』. 20(2): 47-57.
박길성. 2011.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3-25.
박병현 · 홍봉선. 1995.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22: 85-110.
박선례. 2015.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2(1): 279-302.
박윤경 · 이은주 · 류상희. 2016. “성인의 노인 접촉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관계 연구: 충북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2): 81-109.
박재흥. 2009.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81: 10-34.
박찬웅 · 정동철 · 조선미 · 김노을. 2014. “복지의식의 사회적 배타성: 영역별 국가의 복지책임지지 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30(1): 105-141.
배문조. 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배현미. 2003. “노인교육에 의한 중학생들의 노인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9(2): 97-111.
서대석. 2012.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보지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험』. 33: 8-37.
서복경 · 황아란. 2012. “복지확대에 대한 국민 중심의 정책평가: 고령자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5(1): 5-34.
성경륭. 2015. “세대균열과 세대연대-정치 영역과 사회정책 영역에서의 차별적 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7(4): 5-29.
손병돈. 2016. “집단간 복지태도의 차이 결정요인: 복지확대 및 증세에 대한 찬성 · 반대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6(4): 5-34.
손희정. 2009. “고등학생의 노화관련 지식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구교육』. 21(1): 1-19.
송은옥. 2018.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5(1): 157-179.
안상훈. 2000. “복지정치의 메커니즘과 비계급적 균열구조: 복지권과 복지의무에 기초한 세 가지 지위차원의 이론적 · 경험적 검토”. 『사회복지연구』. 16(1): 87-115.
. 2009. “한국의 친복지태도 결정요인과 그 경로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 16(1): 163-192.
안순태 · 이선영 · 정순돌. 2017. “매체를 통한 노인접촉경험이 연령주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규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7(3): 763-78.
안옥희 · 임희경 · 김현진. 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47-355.
안치민. 1995.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계급". 『고려사회학논집』. 9: 211-228.
양옥경. 2002.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1: 229-256.
원영희 · 김동배 · 이금룡 · 한정란. 2002.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중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2(2): 131-146.
유문숙 · 손연정 · 김용순. 2007. “초등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1(1): 54-63.
이금룡. 2004.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 모색”. 노인복지연구. 26: 143-164
이미숙 · 양소남. 2012.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0(8): 265-273.
이상록 · 김형관. 2013. “한국사회에서의 세대와 복지태도”. 『사회과학연구』. 29(3): 433-458.
이선자. 1989. “각 연령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심리학적 고찰”. 『한국노년학』. 9:79-91.
이선희 · 김미리 · 정순둘. 2019. “청년세대의 연령주의 유형화 및 연령주의 유형과 세대갈등 노인복지정책 인식의 관계”. 『한국노년학』. 39(4): 825-846.
이신숙. 2005. “한·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 10(3): 195-218.
이성균. 2002.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 『한국사회학』. 36(2): 205-228.
이수빈. 2016. “복지태도, 계급 그리고 인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6-1: 549-566.
이아름 · 김사현. 2010.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34-264
이윤경. 2007.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한국인구학』. 30(2): 1-22.
. 2016. “자원봉사활동과 청소년 복지의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7(5). 475-500.
이인재. 1998. "IMF관리체제이후 한국인의 사회복지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2(12): 85-110.
이봉민. 2012. “집단 갈등 문제에 대비한 집단 간 간접 접촉 방법의 통합적 적용”. 『법교육연구』. 7(1): 137-163.
이장욱 · 이양훈. 2014. "한국의 지속가능한 노후소득보장정책 수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융합인문학』. 2(1): 49-79.
이재모 · 이신영. 2005. “노인복지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259-283.
이정진 · 노대명. 2015. “복지수급자에 대한 시민들의 복지태도 결정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정당학회보』. 14(2): 195-224.
이중섭. 2009.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4): 73-99.
이창은. 2003. "대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 의식. 자아존중감.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 21(1): 167-175.
이현우. 2014. “복지정책의 확대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분석: 정부의 질, 한국과 북유럽 국가 비교”. 『한국정치연구』. 30(2): 254-286.
이혜자 · 하연진. 2009.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95-112.
전명희 · 강병덕 · 정숙희. 2010. “사회복지의식의 세대 간 차이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13: 141-160.
전혜성 · 권금주. 2009.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3: 203-226.
조남경. 2013. “사회복지의 문화적 토대. 복지태도. 그리고 문화적 문맥: 사회복지정책 연구에 있어 세 가지 문화적 접근의 현황과 과제”. 『비판사회정책』. 39: 235-273.
. 2017. “복지태도의 세대 간 균열 연구: 연령효과와 분리된 코호트 효과와 그 요인의 분석”. 『한국사회정책』. 24(2): 245-275
조돈몬. 2011.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효과". 『산업노동연구』. 7(1): 157-191.
조명희. 2006. “노인에 대한 주부들의 태도”.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5(1): 95-106.
조미숙. 2007. "대학사회봉사와 지역사회 청소년 봉사인식 개선을 위한 복지교육". 『홀리스틱교육연구』. 11(1): 133-153.
조인숙 · 김도연. 2017. “대학생의 노인 관련 미디어 관심도, 노인 이미지 및 정서와 노인 대상 행동 의향”. 『한국방송학보』. 31(3): 248-281.
조정하 · 김성한. 2018.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신뢰. 수용. 『소통을 중심으로』”. 45(1): 86-114.
주은선 · 백정미. 2007.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4: 203-225.
지은정. 2017. “60세 이상 고령근로자의 생산성에 대한 인식연구: 통계적 차별과 접촉가설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73-109.
최고은. 2017. “복지지위가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복지패널학술대회 논문집』. 8: 475-501.
최균 · 류진석. 2000.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 이중성.". 『사회복지연구』. 16(0): 223-254.
최미정 · 심정신. 2014.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이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99-306.
최유석. 2011. “한국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분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8(1): 57-83.
최유석 · 오유진 · 문유진. 2015.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228-241.
표갑수 · 이화정. 2008. “초등학교 사회복지교육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24: 69-92.
한정란. 2000.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0(3): 115-127.
. 2002.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한국성인교육학회』. 5(1): 91-108.
. 2003. “청소년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23(4): 181-194.
. 2008. “연령집단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인구교육』. 1(1): 61-84.
함철호 · 이중섭. 2010.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자기이해. 사회화. 이데올로기.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4): 299-325.
허수연 · 김한성. 2016. “한국인의 복지태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2(3): 203-235.
허만형. 2009. “사회복지 이데올로기 정향분석: 서울 서민의 복지의식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2): 119-144.
황미영 · 류나미 · 최은희. 2008. "초등학교 사회복지교육 프로그램 효과분석". 『청소년연구』. 15(3): 97-117.
Ahn, S. H. 2000. 『Pro-Welfare Politics: A Model for changes in European Welfare states』. Uppsals: Universitetstryckeriet.
Allport, G, W. 1954. 『편견의 심리』. 이원형 옮김. 서울:성원사(1993).
. 1935. 『Attitudes, In C. Murchison (Ed.),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Worcester, MA: Clark Univ. Press.
Fishbein, M.,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Heider, F. 1958.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 New York: John Wiley.
Jæger, M. 2006. “What makes people support public responsibility for welfare provision: Self-interest of political ideology? A longitudinal approach”. 『Acta Sociologica』. 49(3): 321-338.
John W. Santrock. 1996. 『Adolescence: an introduction 6th』. Brown Benchmark.
Kenrick, Douglas. T., Neuberg, Steven, L., Cialdini, Robert, B. 2015. 『사회심리학』. 김아영 옮김. 서울: 경기: 웅진
Magnus, G. 2009.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홍지수 옮김. 서울: 부키.
Marshall, T. H. 1950.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Osgood, C. E., Suci, G. J.,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almoare, E. B. 1998. 『The facts of aging quiz』.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Andress(Andreβ), H., Heien, T. 2001. “Four Worlds of Welfare State Attitudes? A Comparison of Germany, Norway, and the United Stat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7(4): 337-356.
Arts, W., Gelissen, J. 2001. “Welfare States, Solidarity and Justice Principles: Does the Type Really Matter?” 『Acta Sociologica』. 44: 283-299.
Epstein, N. L., Kaplan, A., & Levanon, A. 2003. “Distributive Justice and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State”. 『Social Justice Research』. 16(1): 1-27.
Gilens, Martin. 1995. “Racial Attitudes and Opposition to Welfare”. 『The Journal of Politics』. 57(November): 994-1014.
Gilens, Martin. 1996. “Race Coding and white opposition to welfare”.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0(3): 593-604.
Gelissen, J. 2000. “Popular support for institutionalised solidarity: a comparison between European welfare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9(4): 289-300.
Hasenfeld, Yeheskel., Jane, A. Rafferty. 1989. “The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 toward the welfare state”. 『Social Forces』. 67(4): 1027-1048.
Hawkins, M. J. 1996.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persons". 『Educational Gerontology』. 22(3): 271-279.
Lipsmeyer, C. S., Nordstrom, T. 2003. “East versus West: comparing political attitudes and welfare preferences across European Societies”.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cicy』. 10(3): 339-364.
Levin, W. 1988. “Age Stereotyping: College Student Evaluations”. 『Research on Aging』. 10(1): 134-148.
Pettersen, P. A. 2001. “Welfare state legitimacy: ranking, rateing, paying. The popularity and support for Norwegian welfare programmes in the Mid 1990s”. 『Scandinavian Political Studies』. 24(1): 27-49.
Sanders, G. F., Montgomery, J. E., Pittman, Jr. J. F., Balkwell, C. 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Svallfors, S. 2004. “Class, Attitudes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8(2): 119-396.
Taylor-Gooby, Peter. 1985. “Attitudes to Welfare”, 『Journal of Social Policy』. 14(1): 73-81.
Thurstone, L. L. 1928. “Attitudes can be measured”,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33: 529-554.
*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이 국가의 복지책임인식에 미치는 영향  충주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