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 분석 (Analysis on Regula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4.10
35P 미리보기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무부
    · 수록지 정보 : 선진상사법률연구 / 68호 / 145 ~ 179페이지
    · 저자명 : 박영진

    초록

    우리나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은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의 남용, 과도한 경제적 집중 방지, 부당한 공동행위, 불공정거래행위를 주요 규제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공정거래법의 주요 규제대상 중에서도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집행이 집중되고 있는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 집행 현황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규제 개선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제도는 과징금, 시정명령을 비롯한 공정위의 행정제재 및 사법기관에 의한 형사제재 등의 공적 규제수단과 손해배상제도,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의 공정거래 분쟁조정제도,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등 사적 규제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부터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의한 분쟁조정제도가 도입되어 분쟁조정 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를 통하여 피해구제액 등의 경제적 성과도 어느 정도 거양하고 있는 등 사적 규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나 아직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는 거의 전적으로 공정위의 공적 수단에 의존하고 있다.
    공정위에 의하여 이루어진 불공정거래행위 집행현황에 대한 통계자료를 기초로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와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공정위의 공적 규제에 의존하는 정도에 비하여 공정위가 보유하고 있는 규제자원의 양이나 불공정거래행위가 지니고 있는 시장경쟁질서에 미치는 폐해의 정도와 견주어 볼 때 규제 효과나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불공정거래행위의 요건에 대한 해석론이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고, 공정위의 불공정거래행위 심사지침에서도 개별 유형에 대한 위법성 판단기준이 여러 가지로 제시되고 있는 한편, 공정위의 처분에 대하여 이의신청이나 행정소송이 제기되어 신청인의 주장이 인용되거나 공정위가 패소한 사건 비율이 상당히 높은 점을 고려할 때 공정위의 공적규제에 있어서 소위 과대집행의 오류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결국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법집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는 공적 규제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실태에서 탈피하여 일부 유형에 대하여는 사적 규제 영역으로 전환하여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다각적·중첩적인 ‘최적 규제 체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우리 공정거래법의 불공정거래행위에는 이질적 유형들이 하나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를 구체적인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개별 유형에 대하여 공적 규제수단과 사적 규제수단의 정책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규제간의 조화를 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규제 체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regulatory targets under Korea’s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Fair Trade Act”) are enterprises’ abuse of market-dominant positions, excessiv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cartels and unfair trade practices. Among these main regulatory concerns, this thesis focuses on unfair trade practices which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KFTC)’s enforcement activities are centered 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rther regulatory improvement with a support of a statistical analysis.
    Regulations on unfair trade practices in Korea are formed with i) public regulatory measures, particularly the KFTC’s administrative sanctions such as penalty surcharges and corrective measures, and criminal penalties imposed by judicial bodies, and ii) private regulatory measures, i.e. damage claims, the Korean Fair Trade Mediation Agency’s fair trade dispute mediation system, the Fair Trade Compliance Program(CP), etc. Despite the fact that private measures are being utilized to a greater extent as manifested in the progress of the Korean Fair Trade Mediation Agency’s dispute mediation system since its adoption in 2008 and increasing remedied amount of damage claims, the KFTC’s public regulations are still dominant regulatory measures for unfair trade practices.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al data on the KFTC’s current enforcement activities on unfair trade practices, economic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unfair trading regulations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regulations are relatively low when comparing our reliance on the public regulation to the quantity of regulatory assets of the KFTC and the extent to which unfair trade practices damage market competition order. In addition, there are diverse analytical theories on the elements of unfair trade practices and the illegality criteria for each type of practices under the KFTC’s Guidelines for Review of Unfair Trade Practices are not uniform, while quite frequently appeals or administrative suits are filed against a decision rendered by the KFTC and the applicant wins the case against the KFTC. In this light, it is concluded that over-enforcement, or so called False Positive(Type 1) Errors are found in the KFTC’s public regu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irect certain types of practices to be placed under the private regulatory domain and establish a multi-faceted and integrated “optimal regulatory framework” for unfair trade practices. Furthermore, since unfair trade practices under the current Fair Trade Act are put together in one category despite their disparate nature, these practices should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types, and by comparing and reviewing policy effects of public/private regulations by each type, a balance must be struck among different measures within a regulator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