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법 찾기 (Exploring a teaching process for train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3.09
26P 미리보기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법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 / 16권 / 3호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순

    초록

    최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강의식, 설명식 교수법대신에 구성주의 철학에 바탕을두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라고 하는 문제 중심학습(PBL)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증가되고 있다. 연구자는 PBL 교수법의 구체적인 실천과정에 관심을 갖고 연구자의 동기S 교수의 PBL 수업을 2012년 9월 1일부터 12월 13일까지 참여 관찰하면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새로운 교수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의 고민과 갈등으로 변형되는 교수법 찾기의 과정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S 교수의 교수법찾기의 과정은 배움, 실천, 점검의 순환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대학 내·외 연수를통한 배움에서 교수법의 변화를 시도하고 학생들과 수업과정에서 실천하면서 학생들로부터의 반응을 토대로 교수법을 정착시키며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는가라는 목표에 비추어 교수법을 점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 교수의 교수법 찾기의의미를 들여다보면, 교수는 학생 성장에 대한 열정을 갖고 동반 성장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이며 미래의 유아교육 전문가로서 유아들에게 자리를 내어주는 교사를 양성하는 방법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interest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stead of a unilateral lecture and explanatory instruction have increased. PBL is based on constructivism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ofessor S applied a new instructional method, PBL in her lesson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used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3, 2012. From my observations, I found out a process of looking for an instructional method that transformed by concerns and conflicts experienced by Professor S when she applied PBL in her lessons. Specifically, she faced the following issues: students giving a lecture instead of a professor, enumeration of incomprehensible information, and lesson without context, during the initial PBL application. Therefore, she changed her lessons using a dialogic method that promoted construction of the students' knowledge through conversation. From my request Professor S continued her lessons and she showed both student and instructor initiated dialogic PBL lessons that complemented the issues of previous PBL application. When looking into her process of looking for the instructional method, attempts of improving the instructional method are important for a better lesson that satisfy the students and Professor S. The process includes trials and errors that made her experience confusion and conflict. In addition, the process is a continuous practice that monitors and finds its own instructional method based on the essence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responses of students, and shares them with the human resources around her. I expect college instructors who pursue the improvement of an instructional method to gain more useful ideas from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