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17학년도 2학기 졸업논문
유아교육과
유형: C
분야: 아동미술, 아동생활지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논문주제: 프로젝트 접근법, 프로젝트 활동사례 사례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연구방법
Ⅱ. 본론
1. 프로젝트 접근법이란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및 교육목표
3.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및 과정
4. 프로젝트 활동의 사례 및 비판적 분석 1
5. 프로젝트 활동의 사례 및 비판적 분석 2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유아 보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보육 프로그램,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저마다 추구 하는 목표가 조금씩 다른 이론적 배경과 함께 여러 다양한 프로그램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적은 다들 매 한가지로 영유아가 보육시설이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하면서 즐겁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중요해지고 있는 이러한 영유아프로그램 중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프로젝트 접근법은 유아가 중심이 되어 특정주제에 대해 심도 깊게 탐색하고 탐구해 나가는 활동이라고 한다. 유아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선정한 주제에 대해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다양한 방법과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을 해 나갈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유아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한다. 더불어 친구들과 함께 협동하고 협력하는 방법도 배우게 되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도 얻게 된다.
프로젝트접근법은 주입식 교육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제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아동과 부모,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도 더 효과적이었다. 카츠와 차드에 의해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유아의 학문적·인지적·정서적 발달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하였다. 킬패트릭이 체계화한 ‘프로젝트법’을 카츠와 차드가 오늘날 교육의 현실에 맞게 재조직한 교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지옥정, 전게서,2004).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할 시에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끌고 충분한 학습가능성과 유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야 함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준비단계에서 교사의 준비가 얼마나 충실히 이루어졌는가 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패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교사는 프로젝트 진행상황 시 주제 선정, 브레인스토밍, 유목화, 주제 망 그리기, 자원목록, 자원협조 등을 통해 원활하게 프로젝트가 진행되어지도록 준비를 철저히 해주어야 한다.
참고 자료
이은경, 유아교육개론, 동문사, 2013
전남련, 김기선, 김재환, 권경미 외 7명,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현사, 2008
김혜경,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창지사, 2008
윤애희, 김온기, 박정민 외 6명, 보육의 이해와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창지사, 2003
이순형 외 공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06
권현선,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2017] [국내석사]
홍용희, 프로젝트 접근법 고찰 = An inquiry of the Project Approach, (교과교육학연구, Vol.1 No.-, [1997])[KCI등재]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비교 = Comparison of the Project Approach with the Reggio Emilia Approach, (한국영유아보육학, Vol.16 No.-, [1998])[KCI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