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대외무역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oreign Trade Law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07.03
20P 미리보기
한?중 대외무역법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12권 / 42호 / 23 ~ 42페이지
    · 저자명 : 김명호

    초록

    한국 대외무역법은 자유롭고 공정한 원칙으로 대외무역을 진흥하고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여 국제수지의 균형과 통상의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 대외무역법은 평등호혜를 원칙으로 하며 대외개방의 확대, 대외무역의 발전과 대외무역 질서의 수호, 대외무역 경영자의 합법적인 권익보호 및 사회주의 시장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대외무역법에서 “통상의 진흥”과 중국 대외무역법의 “대외무역 촉진에 관한 규정”을 보면 공통점은 모두 중소기업의 대외무역을 지원한다는 것이고 서로 다른 차이점은 대외무역을 촉진하는 방식이다. 한국의 대외무역법은 중소기업의 무역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무역거래자 중에서 종합무역상사를 지정하며 수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무역 통상 관련 기관 또는 단체로부터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기업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중국의 대외무역법은 대외투자, 대외공사청부와 대외무역협력 등이 다양한 형식을 통해 대외무역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특별히 민족자치구와 경제 미발달지역의 대외무역 발전을 지원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출입에 관한 규정에서도 양국의 공통점은 모두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고 생물자원 및 자국의 국내 산업을 보호한다는 것이고, 차이점은 한국은 수출허가제와 수입증명서 신청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중국은 물품이나 기술을 수출하려면 등록등기 수속을 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향후 양국은 협상을 통해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 무역마찰이 쌍방 모두 다 피해를 입게 되니 호혜평등의 원칙 하에 협상을 통해 공동이익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은 중국에서의 수입물량을 점차적으로 늘려 나가면서 양국의 무역 불균형도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양국은 무역자유구와 같은 특별지구를 창설함으로써 양국의 무역 증진을 획기적으로 도모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영어초록

    When " promotion of trade " in Korea's foreign trade law and " the regulation on facilitation of foreign trade in China's foreign trade law are reviewed, the thing in common is that both of them support foreign trade of medium- and small-size corpor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e way to facilitate foreign trade. Korea's foreign trade law designates general trading companies to support trade activities of medium- and small-size corporations. Then, it collects and analyses information from institutes or organizations relating to trade, and provide it to local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to support export.
    China's foreign trade law regulates development of foreign trade through various styles of foreign investment, foreign work contract and foreign trade cooperation. In particular, it includes regulations on support of foreign trade development in autonomous districts and economically-underdeveloped areas.
    The common thing in regulations on export between both countries is that they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afety, and protect biological resources and domestic industries. The difference is that Korea implements an export authorization system and an import certificate application system while China requires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export of goods or technology.
    In the future, both countries have to resolve conflicts through negotiation. As trade conflicts may cause damage to both of them, they have to realize mutual interests through negotiation under the principle of mutual equality. Korea should improve unbalance in trade with China by increasing import from China. Both countries should find a proper way to promote trade by establishing special zones such as free trade z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