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년법과 피해자 보호 (Die Opferrechte im Jugendgerichtsverfahren (Victim's Rights in Juvenile Trial Proceeding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소년법과 피해자 보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76권 / 47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성은

    초록

    최근 수년간 소년법 영역에서도 소년보호재판에서 피해자의 권리 보호와 강화가 필요하다는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는 소년범죄 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소년범죄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국회에서도 소년법 피해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다수의 법안들이 계속 발의되고 있다. 또한 학계에서도 소년법 영역에서 피해자의 보호와 권리의 강화를 요청하는 목소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현행 소년법을 살펴보면, 소년보호사건 피해자 의견진술제도와 화해권고제도가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고, 그밖에 증인신문, 기록열람·등사 규정 등에 근거해서 피해자가 소년보호절차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 의견진술권의 명문화로 일견 소년법 영역에서 피해자의 법적 지위가 강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현행 규정만으로는 피해자 권리의 실질적 보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제기가 있고, 피해자 보호·지원과 권리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학계와 실무계에서 이러한 요청이 제기되는 배경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 참여는 헌법적으로 보장된 기본권이라고 한다. 또한 소년범죄가 흉포화되면서 소년범죄 피해자 보호의 중요성도 그만큼 커진다고 한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범죄 피해자임에도 가해자가 소년이라는 이유만으로 피해자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고 한다. 따라서 소년보호절차에서도 피해자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피해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소년법에서는 소년법의 이념인 소년보호주의 원리가 적용된다. 소년심판절차는 소년의 환경조정과 품행교정을 위한 보호처분을 하기 위한 심문절차이며, 소년의 환경과 개인적 특성을 근거로 소년의 개선과 교화에 부합하는 보호처분을 부과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소년심판절차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소년심판절차에서 피해자를 일반 형사절차의 경우와 달리 대우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이유가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소년보호주의에 지향된 소년보호절차가 피해자의 이익을 고려하는 것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이것이 어떻게 가능하고 어느 범위까지 가능한지를 고민하고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소년법 영역에서 피해자 보호 역시 중요한 가치라고 하더라도 소년보호의 이념과 서로 조화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피해자의 법적 지위를 강화함으로써 보호받아야 할 소년의 인권이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되거나, 반대로 소년의 건전한 성장에만 집중하여 피해자의 정당한 이익이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피해자의 보호라는 서로 다른 이익을 합리적으로 비교형량하여 그 한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언제나 소년의 이익을 위해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den letzten Jahren wurden im Bereich des Jugendstrafrechts immer mehr Diskussionen über Schutz der Opferrechte geführt. Das Justizministerium schlägt Maßnahmen zur Stärkung des Schutzes von Opfern von Jugendkriminalität vor sowie eine Reihe von Gesetzentwürfen zur Ausweitung der Opferechte im Jugendgerichtsverfahren wird weiterhin vorgeschlagen. Auch in der akademischen Literatur gibt es immer mehr Stimmen, die die Ausweitung der Opferrechte im Jugendgerichtsverfahren fordern. Nach der aktuellen Rechtslage regelt das Jugendstrafrecht zwar die Aussagerechte der Opfer vor Gericht. Es wird aber immer wieder darauf hingewiesen, dass die geltenden Vorschriften allein die Opferrechte nicht wirksam gewährleisten können, und dass die Ausweitung der Opferrechte weiterhin notwendig sind. Die Gründe für diese Forderung sind wie folgt: Zunächst wird die Beteiligung von Opfern an Gerichtsverfahren als verfassungsrechtlich garantiertes Grundrecht bezeichnet. Auch mit der Zunahme der Jugendkriminalität gewinnt der Opferschutz an Bedeutung. Außerdem ist es ungerecht, die Opferrechte nur deshalb einzuschränken, weil es sich um jugendliche Täter handelt. Daher sind rechtliche und institutionelle Ergänzungen erforderlich, um die Rechtsstellung der Opfer zu stärken und ihre Rechte im Jugendgerichtsverfahren zu gewährleisten. Im Jugendstrafrecht gilt das Prinzip des Jugendschutzes. Bei Jugendgerichtsverfahren handelt es sich in erster Linie um Schutz und Verbesserung der jugendlichen Täter. Der Verfassungsgerichtshof weist darauf hin, dass angesichts der Besonderheiten des Jugendgerichtsverfahrens berechtigte Gründe vorliegen, Opfer im Jugendgerichtsverfahren anders zu behandeln als in allgemeinen Strafverfahren. Es ist dann wichtig, die Grenzen festzulegen, inwieweit die Rechte der Opfer im Jugendgerichtsverfahren anerkannt werden können. Und im Zweifelsfall sollte die Entscheidung immer im Interesse der jugendlichen Täter getroffen werd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